구직자 40% "최종 합격후 입사 포기했다"

입사 포기 기업 80.8%는 '중소기업'

디지털경제입력 :2020/08/11 09:07

구직자 10명중 4명은 구직난을 뚫고 최종 합격한 뒤에도 입사를 포기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입사 포기자의 대부분은 중소기업 합격자였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합격 경험이 있는 구직자 1천246명을 대상으로 ‘입사 포기’에 대해 조사한 결과, 39.2%가 입사 포기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들이 입사를 포기한 기업의 형태는 ‘중소기업’(80.8%, 복수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음은 ‘중견기업’(16.2%), ‘대기업’(6.3%), ‘공기업’(4.9%), ‘외국계기업’(2%) 등의 순서였다. 주로 입사를 선호하는 기업의 역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기한 횟수는 절반 이상(55%)이 1회 포기했으며, 2회(30.7%) 포기한 응답자도 적지 않았다. 포기한 횟수의 평균은 1.7회로 집계됐다.

어렵게 합격하고도 입사를 하지 않은 이유는 기업 형태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중소기업과 중견기업, 공기업의 경우 ‘연봉 등 조건이 불만족스러워서’가 각각 42%, 46.8%, 37.5%(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대기업(35.5%)과 외국계 기업(50%)의 경우는 ‘조직 문화가 생각했던 것과 달라서’를 첫번째로 꼽았다.

10명중 4명(39.5%)은 입사 포기한 것을 후회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후회한 이유는 ‘취업에 계속 실패해서’(47.7%,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이어 ‘구직 기간이 길어져서’(47.2%), ‘앞으로 구직난이 더욱 심해질 것 같아서’(31.1%), ‘경제적 어려움이 점점 커져서’(27.5%), ‘이후 더 좋은 기업에 합격하지 못해서’(24.4%), ‘취업 후 이직이 나을 것 같아서’(16.1%) 등이 있었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최종 합격 후에 입사를 포기하는 것은 채용을 진행한 기업 입장에서 보면 시간과 비용의 손해 뿐 아니라 필요한 인재를 적시에 채용하지 못해 예정된 업무에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어 "본인에게도 시간 낭비는 물론 다른 지원자의 취업 기회도 놓치게 하는 일인만큼 입사 지원 전에 충분한 정보 탐색과 심사숙고를 거쳐 신중하게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