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인크루트는 3일 기업 531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업 4곳 중 1곳에서 하반기 파산신청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지난달 법원행정처 발표에 따르면 올 상반기 법인 파산신청 건수가 통계 집계 이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하반기 경영환경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란 예측도 나왔다.
먼저 ‘코로나19 이후 실제로 경영환경이 악화됐는지’ 질문한 결과 ‘매우 그렇다’ 28.1%, ‘그런 편이다’ 43.9%로 집계됐다. ▲‘제조업’ 86.0% ▲‘식음료’ 81.3% ▲‘전자·반도체’ 80.8% ▲‘공연·문화·예술·스포츠’ 80.0%였고 ▲‘여행·숙박·항공’ 응답비율은 100.0%에 달했다.

기업 4곳 중 1곳에서는 연내 파산을 우려했다. ‘하반기 도산 가능성이 있는지’ 질문한 결과 ‘매우 그렇다’ 6.3%, ‘그렇다’ 19.6%의 응답비율이 도합 25.9%에 달했다.
관련기사
- 내년 최저임금 1.5% 오른 8720원…경영계 "동결됐어야"2020.07.14
- 암울한 제조업…기업 절반 "現경영 더 악화됐다"2020.06.21
- 코로나발 개인위생 시대…전자제품도 'UV 살균'이 대세2020.08.02
- 文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새 인터넷신문 모델 선도해나가길”2020.07.28
도산을 걱정하게 된 배경으로는 1위에 ‘코로나 직격타’(53.4%), 2위에 ‘(코로나 이전에도 경영사정이 안 좋았는데) 코로나 이후 회생 가능성이 사라짐’(43.6%)이 각각 꼽혔다. ‘원래부터 도산위기’였던 기업은 0.8%에 불과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52.0%)과 ‘여행·숙박·항공업’(37.5%)에서, 기업별로는 ‘대기업’(23.8%)에 비해 ‘중소기업’(29.6%), ‘스타트업’(38.9%)에서 도산 위험성을 높게 내다보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