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협약 저버린 KT·LGU+…CEO에 직접 따져묻겠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간담회 요청…"쿠팡 통신업 진출에 위기감 심화”

방송/통신입력 :2020/07/17 17:11    수정: 2020/07/19 09:34

이동통신 유통점이 구현모 KT 사장과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에게 만남을 요청했다. 

최근 KT와 LG유플러스가 소셜커머스 ‘쿠팡’에 대리점 코드(개통코드)를 부여하면서 심화된 일선 유통망의 불만을 직접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KMDA)에 따르면 협회는 KT와 LG유플러스에 CEO 간담회를 공식 요청했다. 공문은 지난 15일 전달됐으며, 이에 대한 답변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쿠팡이 론칭한 휴대폰 통신사 가입서비스 ‘로켓모바일’ .

CEO와의 만남 요청은 KT와 LG유플러스가 쿠팡에 대리점 코드를 내준데 따른 일선 유통점의 불만이 거세지면서 이뤄졌다. 쿠팡은 대리점 코드를 통해 단말기를 판매하고 서비스 개통까지 한번에 제공할 수 있게 됐다.

KMDA는 코로나19 이후 일선 유통점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쿠팡의 통신시장 참여가 위기를 심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쿠팡에 대리점 코드를 부여한 KT와 LG유플러스를 향해서는 중소 유통점과 상생하겠다는 약속을 져버린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로 이동통신 3사는 지난 8일 방송통신위원회의 불법보조금 과징금 제재 당시 중소 유통점에 7천100억원을 지원, 상생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KMDA는 KT와 LG유플러스가 과징금을 경감받기 위해 유통망을 이용한 뒤, 곧바로 대형 유통채널을 추가하는 이중적인 행태를 보였다고 주장했다. 

KMDA 관계자는 “이통사가 방통위 심결에서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외치며 과징금을 45% 감경받고,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유통망을 위협하고 있다”며 “유통망과 상생을 위해 대형 유통채널을 줄여가겠다는 약속도 어긴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쿠팡이 통신시장에 본격적으로 참여하면서, 국내 시장이 더욱 혼탁해 질 것이라는 지적도 내놨다. 

KMDA 관계자는 “쿠팡은 자금력을 바탕으로 추가 쿠폰이나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등 불·편법 마케팅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며 “대응할 여력이 없는 중소규모의 유통점은 더욱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KT와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쿠팡과의 계약이 소비자 편의를 위한 것이라고 강조하며, 약속한 중소 유통망 지원은 변함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KT·LG유플러스 관계자는 “쿠팡과의 계약은 유통 채널 확대를 통한 소비자 선택권을 넓히고 온라인 판매가 늘어나는 추세를 반영해 체결한 것”이라며 “쿠팡에만 차별적인 보조금을 지급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비대면 확산으로 인한 변화에 대응하고자 쿠팡으로 온라인 판매 채널을 확대한 것”이라며 “이통3사는 앞서 정부에 약속한 중소 유통망 지원을 지속해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