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산업단지 내 사업장의 공정설비 개선을 통해 미세먼지·온실가스·폐기물·유해화학물질 등 4대 오염물질을 저감하는 '클린팩토리' 구축 사업을 시작한다.
올해 31억원의 예산으로 7개 스마트산단 내 100개 중소·중견 제조사업장을 선정·지원하고, 2025년까지 총 1천750개 사업장으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저탄소·녹색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산단 내 클린팩토리 구축 지원사업'을 올해부터 신규 사업으로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클린팩토리 사업은 산단 내 중소·중견 사업장을 대상으로 생산단계부터 4대 오염물질을 원천적으로 감축하기 위해 제조공정을 전문가가 진단하고, 맞춤형 친환경 생산설비 보급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사업은 공정설비 개선을 통해 오염물질 배출을 저감하는 사업으로, 초기투자비 이외에 운전비용 등이 추가로 소요되는 배출처리시설의 설치보다 경제성이 우수한 사업으로 평가된다.

앞서 산업부는 부처합동으로 발표한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전략', '산단 대개조 계획' 등을 통해 제조업의 친환경화를 위한 핵심 대책으로 클린팩토리 구축·확산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이번 3차 추경예산을 통해 그린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게 됐다.
사업 시행은 이날 사업공고, 기업신청, 대상사업장 선정, 맞춤형 설비 교체 순으로 진행된다. 선정된 사업장엔 공정진단 결과에 따라 최대 5천만원의 친환경 설비전환 비용이 지원된다.
산업부문 온실가스의 77%, 에너지소비의 83%를 차지하는 산단 클린팩토리 사업은 친환경화에 기여도가 클 것으로 산업부는 내다봤다.
관련기사
- 한전, CO2 배출 없는 '그린수소 사업' 추진한다2019.09.02
- 발전5사, 4.6兆 투입해 대기오염물질 절반으로 줄인다2020.07.06
- 대기오염물질 배출정보 발표 주기 3년→2년 단축2020.05.29
- 2017년 초미세먼지 배출량 전년보다 8.5% 감소2020.07.07
아울러, 사업을 통해 오염물질 저감은 물론 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하는 등 사업장 입장에서도 일석이조의 효과가 예상된다.
황수성 산업부 산업정책관은 "클린팩토리 사업은 제조업의 친환경화를 촉진하고 신규 일자리를 창출해 그린 뉴딜의 성과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클린팩토리 지원 사업이 마중물이 돼 기업의 후속적인 친환경 투자가 더욱 활발해 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