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삼성·LG·SK, '그린 뉴딜' 포문..."미래 모빌리티 시장 선점"

정의선 부회장,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서 비전 제시

디지털경제입력 :2020/07/14 18:21    수정: 2020/07/16 08:56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14일 열린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에서 미래 모빌리티 시장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삼성·LG·SK와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향후 그룹간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정 수석부회장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한국판 뉴딜 국민 보고대회에서 화상으로 연결된 경기 고양 현대모터스튜디어에서 현대차그룹의 그린 뉴딜 계획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정 수석부회장은 현대차그룹이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부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 기술기업'이 되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내년 양산할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가 적용된 차세대 전기차 출시를 언급, 판매량을 늘려 글로벌 전기차 시장를 주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2025년에는 전기차를 100만대 판매하고, 시장 점유율을 10% 이상 기록해 전기차 부문 글로벌 리더가 되겠다"며 "최근 삼성·LG·SK를 차례로 방문해서 배터리 신기술에 대해 협의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3사가 한국 기업이라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서로 잘 협력해 세계 시장 경쟁에서 앞서 나가겠다"고 전했다.

이번 그린 뉴딜 계획 발표에 앞서 그룹 총수들은 지난 5월부터 차세대 배터리를 화두로 회동을 이어왔다.

현대차그룹이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는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사업장을 각각 방문하는 식이었다. 정 수석부회장은 지난 5월 현장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6월엔 구광모 LG그룹 대표, 이달 들어서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찾아 각 회사 배터리 사업장을 둘러보고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사진=현대차그룹

이들 총수들은 일찍이 전기차 관련 협업을 이어왔다. 최근 회동에서는 배터리 공급과 미래 모빌리티 기술에 대한 새 협력 방안이 발표되기도 했다. 현대차그룹이 미래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순수 전기차 플랫폼 성공을 위한 국내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과의 긴밀한 기술 협력과 충분한 배터리 물량 확보가 관건이다. 

현대차그룹은 2025년까지 총 44종의 친환경차를 선보일 예정이며, 이중 절반이 넘는 23종을 순수 전기차로 출시할 계획이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12월 현대·기아차의 E-GMP 기반 전기차의 1차 물량 공급사로 선정되면서 협력 규모가 확대됐다. 정 수석부회장과 최 회장 회동 당시에도 두 그룹사는 해당 내용을 담은 자료를 발표하며 협력 확대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5년간 약 50만대 배터리(약 10조원 규모)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에 하반기 발주될 3차 물량 수주도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기아차는 2022년 양산 예정인 E-GMP 2차 배터리 공급사로는 LG화학을 선정했다. 이 소식은 지난 달 22일 정 수석부회장과 구광모 회장이 LG화학 오창공장에서 만남을 가진 날 발표됐다. 이에 삼성SDI와의 협력 행보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SK와 전기차 시장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협력 방안도 논의했다. 배터리 대여·교환 등 서비스 플랫폼(BaaS)과 SK 주유소와 충전소 공간을 활용해 전기·수소차 충전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이들 배터리 3사의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공유하기도 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삼성의 전고체 배터리 ▲LG의 장수명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SK의 고에너지밀도, 급속충전, 리튬-메탈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 관련 개발 방향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향후 기업 간 동맹이 끈끈해질수록 한국 모빌리티 산업 발전에 대한 기대감은 커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3주년 연설에서 우리나라 경제 선도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개척을 위해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3대 신성장 산업을 더욱 강력히 육성해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재계 관계자는 "4차 혁명시대를 맞아 이(異)업종간 교류와 융합이 활발해지고 있다. 미래차는 속도의 문제로 '패스트 팔로워'보다는 '퍼스트 무버'가 되는 게 관건이다"며 "과거처럼 독불장군식의 경영을 이어가면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모빌리티 산업에서 한국이 더 치고 나갈 수 있는 이정표가 될 수 있는 만큼 앞으로의 협업 행보에도 관심이 가는 이유"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