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아시아 물 안보위한 국제 연구 협력

OECD·아시아물위원회와 합의각서 체결

디지털경제입력 :2020/07/12 14:01

환경부는 1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아시아물위원회와 아시아 9개국 대상 물 안보 촉진을 위한 연구 협력사업 추진 합의각서를 교환한다. 협약은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비대면 서명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번 연구는 선정된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물 관리 기반시설(인프라) 및 정책·기술 현황을 평가하고 ▲국가 물 관리 정책 목표와 방향 ▲정책·기술 대안과 대안별 우선순위 ▲중장기 재원조달 계획을 제시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후속 물 관리 사업을 발굴한다.

올해 태국을 시작으로 2024년까지 5년 동안 인도네시아·몽골 등 아시아 9개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내년부터 연 2개국을 대상으로 하며 매년 다음 해 대상국가를 선정한다.

환경부는 지난해 5월 13일 프랑스 파리 OECD 본부에서 OECD, 아시아물위원회와의 물 분야 지식·기술 협력 강화를 위해 삼자 간 양해각서를 교환했다.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이 양해각서를 바탕으로 올해 본 연구 착수에 앞서 아시아 국가별 물 관리 현안을 파악하고 우선 연구 대상국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 연구가 한국수자원공사 지원으로 지난해 말까지 진행됐다.

환경부와 아시아물위원회는 앞으로 연구 진행 과정에서 도출될 정책·기술적 개선방안을 토대로 사업 대상국과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개발자금 지원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국가별 맞춤형 물 관리 후속사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각 국가·기관 고위급 대화를 병행해 사업 장애 요인을 미리 방지할 예정이다.

연구는 각 참여기관의 전문성을 살려 추진된다. 환경부는 각국 정부 및 관계기관과의 협력과 사업 예산 확보를 지원한다. 사업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내년부터는 외교부도 합류할 예정이다.

OECD는 물 관리 정책과 재정 분야 연구를, 아시아물위원회는 물 관리 기술혁신 분야 연구를 담당한다. 아시아물위원회 소속 국내외 전문가 집단을 통해 대상 국가별 기술혁신 전략과 이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후속 사업을 제안한다.

관련기사

또 매년 대상국 고위급 관계자가 참석하는 국가협의회와 지역협의회를 운영, 대상국 물 관리 현안과 정책·기술 수요를 파악하고 재원조달 등 지원 전략을 논의하는 한편, 사업 추진 현황과 성과를 공유한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이번 연구 협력사업을 우리 정부의 신남방·신북방 정책과 연계해 아시아 물 안보 강화에 기여하고 그린뉴딜의 주축인 우리 물 산업의 아시아 시장 진출을 촉진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