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 발전조합 설립된다…항공기 도입 등 지급 보증

2021년 설립 목표…세부 재원조달 방안 논의 착수

디지털경제입력 :2020/06/26 17:00

항공사 재원조달에 도움을 줄 ‘항공산업발전조합’이 설립된다.

국토교통부는 26일 국적 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인천공항공사 CEO가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항공사 중심의 ‘항공산업발전조합’을 설립하기로 했다.

10개 항공사 CEO와 한국·인천공항공사 CEO는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으로 인해 국제노선 운항이 사실상 중단되는 등 항공산업 생태계 전반이 생사기로에 놓이면서 항공산업의 장기 경쟁력과 위기대응 능력 강화가 절실하다는 데 공감하고 조합 설립에 합의했다.

이날 참석한 10개 항공사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 이스타항공, 플라이강원, 에어인천이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10일 한국공항공사에서 개최한 항공사 CEO 간담회에서 항공업계 지원대책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코로나19 발병 전에도 항공산업은 전염병, 국제정세 등 대외변수에 취약했지만, 해운산업 등 다른 기간산업과는 달리, 항공산업 내 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안전망은 미비했다”며 “항공사 외에 학계·연구기관 등도 보증기구·조합 등의 필요성을 지속해서 제기했다”고 밝혔다.

항공산업발전조합은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항공사 스스로 조합원으로 참여해 재원조달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재원을 지속해서 축적할 수 있도록 조합 형태로 설립될 전망이다.

국토부는 현재 항공산업이 전례 없는 불황을 겪고 있어 운영 초기인 2023년까지는 항공사가 마련할 수 있는 재원 규모에 따라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정부 출연 여부도 검토할 예정이다.

또 항공사 출자액은 항공산업 회복에 따라 점진적으로 인상될 수 있도록 항공사와 지속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조합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항공사가 항공기를 도입할 경우 리스사(운용리스)와 금융기관 융자(금융리스) 지급 보증을 제공해 항공기 리스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업계는 현재 항공사 영업비용의 약 15%를 차지하는 항공기 리스를 위한 조달·이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조합은 또 산업이 호황일 때 적립한 조합비를 기반으로 항공사의 일시적 경영위기에 경영자금 대출과 자산 유동화를 지원하는 등 긴급자금 지원역할을 수행한다.

관련기사

조합은 항공조합을 중심으로 새로운 산업과 중소기업에 투자하기 위한 항공산업 발전 펀드를 조성해 항공산업 내 상생과 생태계 유지를 위한 재원을 마련하게 된다.

김상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항공산업발전조합은 우리 항공산업의 기초체력과 대외경쟁력 강화를 위한 금융환경조성의 발판이 될 것”이라며 “조합설립·운영에 항공사의 주도적인 역할이 중요한 만큼 향후 재원조달 등 구체적 사항에 관한 밀접하고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안정적인 항공금융환경을 정착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