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정책금융, 자동차 부품산업 취약기업에 2조+α 지원

비상경제 중대본서 ‘자동차 부품산업 취약기업 중점지원 대책’ 의결

카테크입력 :2020/06/19 14:59    수정: 2020/06/19 15:05

정정부와 정책금융기관, 완성차업체가 함께 재원을 마련해 자동차 부품 취약기업에 2조원+α를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6개 대출·보증 프로그램과 만기연장 지원을 확대해 부품업계 자금애로를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19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7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부품업계 위기 극복과 미래차 준비를 위해 ‘자동차 부품산업 취약기업 중점지원 대책’을 의결했다.

홍남기 부총리는 “이번 대책은 자동차 부품산업 상황과 업계 요청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기존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중견기업과 중·저신용등급 부품업체 지원에 집중하면서 취약업체 지원에 따른 금융기관 리스크 경감과 업계 상생을 위해 정부와 완성차업체 등이 공동으로 역할을 분담했다”고 설명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신용보증기금은 총 3천억원 규모 보증을 지원한다.

2천700억원은 보증과 산업은행 대출이 연계된 ‘상생 특별보증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300억원은 ‘프로젝트 공동보증’ 형태로 지원한다.

공동보증은 신보가 처음 시도하는 혁신적인 보증지원 방안이다. 자동차 부품산업을 시작으로 여러 산업에서 자체 신용도가 취약한 중소·중견 협력업체를 지원할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현재 협의 중인 완성차업체와 지자체 추가 출연이 이뤄지면 공급 규모는 3천억원보다 더욱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캠코는 1조6천500억원 이상 대출을 공급한다.

정책금융기관과 완성차업체가 함께 조성한 ‘동반성장펀드’를 통해 산은과 기은에서 각각 1천750억원 규모 대출이 이뤄진다.

완성차업체가 추천하는 중소·중견 협력업체가 지원 대상이지만 은행에서 심사 후 신용도 취약업체를 우선 지원할 예정이다.

협력업체가 가진 완성차업체의 매출채권이나 납품 거래 실적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출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실에 들어서고 있다. (사진=뉴시스)

시장에서 자금조달이 어려운 1차 협력업체가 매출채권을 담보로 대규모 자금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캠코에서 3천억원 규모 ‘원청업체 납품 대금 담보부 대출펀드(PDF)’를 신설했다. 산은의 ‘힘내라 주력산업 협력업체 프로그램’을 통해 신용도와 무관하게 납품거래실적이 있는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1조원 규모 운영자금을 우대금리로 대출할 예정이다.

해외법인 대출에 대한 부품업체 요청과 중견기업의 만기연장 지원 건의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수은은 수은 해외법인을 활용해 부품업체의 해외공장 등이 지닌 ‘해외자산에 대한 담보부 대출’을 추진한다.

현재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시중은행 만기연장’을 5대 시중은행부터 자동차 중견 부품업체에도 시행한다.

관련기사

정부는 이번 대책으로 중견기업과 취약업체를 지원 대상에 포함함, 운영 중인 P-CBO 발행지원 프로그램 등과 함께 자동차 부품산업에 대한 촘촘한 금융지원망이 완성됐다고 밝혔다.

정부는 대책을 통해 완성차업체-자동차 부품업계로 이어지는 산업 생태계와 공급망이 안정화되고 중견기업 만기연장 등을 통해 부품업계 경영환경 불확실성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