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총장 신성철)는 코로나19 관련 검사·추적·치료 등 기존 3T 시스템을 한층 업그레이드한 새로운 '코로나19 감염병 확산방지시스템(앱&웹)'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PreSPI(Prevention system for Pandemic Disease Infection)'라고 이름을 붙였다.
이 시스템은 GPS·무선랜·블루투스·기압계·관성 센서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집 및 기록하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사생활 침해 논란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한 역학조사와 격리자 관리 등 코로나19 상황에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다고 KAIST는 설명했다.
기존 3T 시스템은 신용카드 이용 내역 등 광범위한 개인정보 접근을 통해 확진자 동선을 공개하는 과정에서 사생활 노출에 따른 인권침해 우려가 꾸준히 제기됐다.
KAIST 전산학부 지능형서비스통합연구실 한동수 교수 연구팀이 개발했다. 이 스마트폰 블랙박스 시스템은 스마트폰에 내장돼있는 GPS와 와이파이·블루투스·관성 센서 등을 통해 수집한 신호를 보관했다 2주가 지나면 자동으로 폐기된다.
또 개인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저장된 기록은 일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특히 확진자 동선을 공개하는 경우에도 문자로 표현되는 장소 정보가 아닌 신호 정보를 공개하기 때문에 확진자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다고 KAIST는 밝혔다.
코로나19 집단감염 대응 차원에서 그동안 꾸준히 지적돼 온 개인의 사생활 침해 문제에 대해 기존과는 다르게 보다 섬세한 방법으로 접근했다는 점이 이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이다.
한 교수팀의 '코로나19 감염병 확산방지시스템'은 크게 일반인을 위한 '바이러스 노출 자가진단 시스템'과 감염병 관리기관을 위한 '확진자 역학조사 시스템' 그리고 '격리자 관리 시스템' 등 3개 시스템으로 이뤄졌다.
'바이러스 노출 자가진단 시스템'은 확진자 동선과 개인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기록된 동선의 중첩 여부를 체크해 이뤄진다. 현재 방식은 확진자의 정보가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고 개개인이 직접 확진자의 동선을 확인하는 불편함이 따르지만, 한 교수팀이 개발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수시로 해당 앱의 버튼을 눌러 바이러스 노출 여부를 쉽고 빠르게 체크할 수 있다.
'확진자 역학조사 시스템'을 통해 확진자 관련 역학조사를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코로나19 감염병 확진을 받은 환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기록된 신호를 지도상에 표시를 해주기 때문에 역학 조사관이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동수 교수는 이와 함께 이 시스템에 지난 10여년간 개발해 온 실내외 통합 위치 인식시스템 KAILOS(KAIST Locating system) 기능도 적용했다. 이에 따라 실내지도와 신호지도가 준비된 건물에서는 건물 내부에서도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 [핫문쿨답] 코로나19 걱정에 “쿠팡·마켓컬리 계속 쓰나요?” 물었더니2020.06.10
- 과기정통부, 코로나19로 멈췄던 'PP 진흥' 다시 뛴다2020.06.10
- 에이서, 코로나19로 프레데터 리그 내년으로 연기2020.06.10
- 루닛 코로나19 AI, 세계 10개국에서 사용2020.06.10
스마트폰 블랙박스는 격리자 관리에도 활용한다. 격리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가 수집한 신호는 주기적으로 '격리자 관리 시스템'에 전송된다. '격리자 관리 시스템'은 전송받은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격리자의 격리공간 이탈 여부를 확인한다. GPS 신호뿐 아니라 무선랜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의 확진자 격리공간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기존 방식보다 더 정확하게 격리자를 관리할 수 있다는 게 강점이다.
한동수 교수는 "현재 약 30여 종의 스마트폰이 사용되고 있는데 스마트폰마다 탑재된 센서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서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을 다양한 스마트폰에 이식하고 테스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이 작업을 마치는 대로 곧 시스템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