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중앙은행이 디지털 화폐(CBDC)발행에 대한 검토와 기술 검증에 돌입한 가운데, 한국은행도 전담팀을 꾸리고 첫 연구 보고서를 내놨다.
한국은행 금융결제국 디지털화폐기술반은 18일 중앙은행 발행 CBDC 연구 보고서가 공개된 14개 중앙은행의 12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이 CBDC 모델에 분산 원장(DLT) 등 최신 IT 기술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CBDC는 민간 기업이 발행하는 암호화폐나 법적 통화와 연관된 스테이블 코인과 다르게, 통화 발행권을 가진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전자적 형태 화폐를 의미한다.
한국은행 디지털화폐기술반이 조사한 중앙은행은 노르웨이·동카리브·바하마·스웨덴·스위스·싱가포르·영국·일본·중국·캐나다·태국·프랑스·홍콩 중앙은행과 유럽중앙은행으로 14곳이다. 이중 일본은 유럽중앙은행과, 태국은 홍콩중앙은행과 공동 연구 중이다.
이 중앙은행들은 거액과 소액 거래 등 두 가지 형태로 CBDC 기술 검토 등에 나서고 있다. 거액 CBDC는 금융기관 간, 은행 간 자금 결제 처리 용도의 CBDC를 뜻하며, 소액 CBDC는 일반 시민들이 사용하는 전자적 화폐 형태의 은행권이다. 거액 거래 목적의 CBDC를 연구하는 곳은 스위스·싱가포르·일본·유럽중앙은행·캐나다·태국·홍콩·프랑스 중앙은행이며, 소액 목적의 CBDC는 노르웨이·동카리브·바하마·스웨덴·영국·중국 중앙은행이다.
14개 중앙은행 중 구현기술을 공개한 사례는 6건(동카리브·스웨덴·싱가포르·일본·유럽중앙은행·캐나다·태국·홍콩중앙은행)인데 모두 CBDC 시스템에 분산 원장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다. 분산 원장 기술은 별도 관리 기관 없이 참가자들의 합의로 거래 원장을 분산 관리하는 기술로, 대표적인 기술 사례는 블록체인이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이나 코다 등 분산원장 플랫폼 관련 기술 연구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다만, 영국중앙은행인 영란은행과 프랑스 중앙은행처럼 분산 원장 기술에 유보적 입장을 보인 곳도 있다. 한국은행 디지털화폐기술반 측은 "중앙은행들은 CBDC 모델이 미래지향적인 기술을 활용해 구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IT시스템 개발에 분산 원장 등 최신 IT기술을 적용하고 있다"며 "블록체인이라고 분산 원장 기술을 정의하기 보다는 기술 중립적 위치에서 다양한 분산 원장 기술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14개 중앙은행 중 바하마와 스웨덴은 개념 검증을 마치고 시범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이들 중앙은행을 제외한 대부분 은행은 개념 검증을 진행 중이며, 스위스와 프랑스중앙은행은 모델 수립 후 개념 검증을 준비 중이다.
관련기사
- 페이스북 리브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품는다2020.05.18
- 중국, 디지털 위안화 발행 초읽기...테스트 지갑 이미지 공개2020.05.18
- 한국은행, 내년 말까지 디지털화폐 파일럿 테스트2020.05.18
- 프랑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실험 프로젝트 가동2020.05.18
한국은행은 해외 중앙은행 CBDC 기술 검토 사례를 참고해 향후 개발할 CBDC 파일럿 시스템에 분산 원장 등 최신 IT기술이 적절히 반영될 수 있도록 IT시스템을 구현하다는 방침이다.
한국은행은 오는 7월까지 디지털 화폐에 대한 정확한 정의부터 기술적 설계 검토에 나선다. 업무 프로세스 분석 및 컨설팅을 진행한 후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는 디지털 화폐 파일럿 시스템을 구축하고 테스트에 나선다. 제한된 환경서 디지털 화폐 발행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살펴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