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7개 공공기관이 구매한 중소기업 제품 규모가 지난해 처음으로 100조원 대를 돌파했다.
28일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국무회의에서 '2020년도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목표(안)'이 심의, 의결됐다고 밝혔다.
중기부에 따르면, 관련 법령에 따라 중소기업제품 구매 목표를 이행해야 하는 공공기관(국가기관,지자체,공공기관 등)은 837곳이다. 이들이 지난해 구매한 중소기업제품 규모는 105조 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 94조원에서 11조원이 늘었다.
총 구매액 증가와 함께 중소기업제품 구매비율(총 구매액 중 중소기업제품 구매액 비중)이 늘어난 덕분이라고 중기부는 해석했다.
올해 이들 기관의 중기업제품 구매 목표는 103조4000억원이다. 작년 목표치(93조8000억원)보다 9조6000억원 늘었다. 대상 기관들이 목표치를 보수적으로 책정하는 경우가 많은 점을 감안하면 올해 최소 105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것이 중기부는 예상이다.
이들 800여개 기관의 총 공공조달시장 규모는 최대 130여조원인데, 이 중 약 78%가 중소기업제품 구매다.


기술개발 제품과 여성 및 장애인 기업 제품 구매도 2019년에 2018년보다 큰 폭으로 늘었다.
기술개발제품은 2019년 5조3500억 원으로 전년(4조5300억원)보다 18.1% 증가했다. 여성기업 제품은 2019년 11조9000억 원으로 전년(10조5800억 원)보다 12.5% 늘었다. 장애인기업 제품은 2019년 2조1000억원으로 전년(1조7700억원)보다 18.6% 증가했다.
지난해 중소기업제품 구매비율 증가 폭이 큰 우수 기관은 경기도청, 인천국제공항공사, 교육부, 한국환경공단, 한국공항공사 순이였다. 또 중소기업제품 구매액 증가폭이 큰 기관은 한국수자원공사, 광주광역시청, 경기도청, 교육부, 인천광역시청 순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중기부, 2020년 존경받는 기업인 발굴 나서2020.04.28
- 중기부, 미래차 등 PM 7명 뽑는다...기정원장 직속 운영2020.04.28
- 중기부 기술닥터제 시행...중소 제조사 기술 애로 해결2020.04.28
- 예스24 또 속였나?..."1차 해킹 때 백업망도 랜섬웨어 감염"2025.08.14
또, 중기부가 2018년 이후 매년 산정하는 별도 기준(중소기업제품 구매비율이 80%이상이면서 중소기업제품 구매액이 3천억원 이상)에 따른 구매 우수기관은 기초자치단체인 원주시, 청주시, 용인시, 고양시, 포항시 순이였다.
중기부 이희정 판로정책과장은 "올해는 작년 수준을 웃도는 규모의 중소기업제품이 공공조달시장에서 판매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내수절벽 완충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