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 지자체도 활용한다

국토부, 강원·경기도와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 공유 협약 체결

카테크입력 :2020/04/21 08:03

고속국도·일반국도 등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도로에서 활용하고 있는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RMS)이 앞으로 지방도 등 지자체 관할 도로에도 적용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한승헌)은 주요 간선도로를 관리하며 축적한 지적자산인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을 지자체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연계한다고 21일 밝혔다.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

강원도와는 관할 지방도로 포트홀, 균열 등 포장 위험요소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노후 교량, 터널의 체계적 보수가 가능하도록 정부의 도로관리시스템을 개방하고 축척된 기술을 지원하는 협력계획을 체결한다.

경기도에는 관할 지방도로의 포트홀, 로드킬 등 도로불편을 즉각 신고하고 24시간 내 접수처리가 되도록 정부의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 가운데 ‘척척해결서비스’를 경기도 도로 모니터링단이 사용·연계토록 지원하기로 했다.

척척해결서비스는 도로 이용불편 및 위험 신고 민원을 스마트폰으로 편리하게 접수하고 관할 도로관리 기관에 이관하는 도로불편·위험 해소 서비스다.

국토부는 오랜 기간 시행착오 등을 거치며 선진화된 정부 스마트 도로 관리시스템을 지자체와 공유함으로써 국민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지자체도 예산 절감 효과와 함께 효율적인 시설물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지난해에는 경기도·제주도와 각각 ’산사태 관리 시스템‘과 ’도로포장 관리 시스템‘ 협약을 맺는 등 스마트 도로관리 전국 확산 시발점을 마련한데 이어 강원도와 새로 협약을 체결하고 경기도와는 협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 개념도

김용석 국토부 도로국장은 “정부와 지자체 간 긴밀한 협업으로 국민의 도로이용 불편을 최소화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환경을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며 “앞으로 정부의 데이터 기반 첨단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이 전국 11만㎞의 모든 도로에 활용될 수 있도록 각 도로관리청 간 협력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