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인천공항도 자유무역지역 확대 지정

확대지정으로 50개사 기업 유치 통해 1조원 투자

디지털경제입력 :2020/04/06 11:41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동북아 물류허브 선점을 위해 인천공항과 부산항 자유무역지역을 확대 지정했다.

이번 확대 지정은 인천공항 자유무역지역과 부산항 자유무역지역을 관리하는 국토교통부·해양수산부가 신청하고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산업부가 확정했다.

인천공항 자유무역지역

자유무역지역으로 확대 지정되는 곳은 전자상거래·신선화물 등 신성장 항공화물 유치를 위해 조성중인 인천공항 3단계 물류단지 32만㎡와 환적화물 유치 등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개발 중인 부산항 신항 서측·남측 컨테이너터미널과 인근 배후단지 283만㎡다.

이번 확대 지정된 인천공항 3단계 물류단지에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신성장화물·환적화물 유치기업, 글로벌 배송센터(GDC), 다국적 기업 등을 우선해 유치한다.

부산항은 항만 특성을 반영해 환적화물과 위·수탁 가공업체를 유치하는 등 고부가가치 물류활동을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되면 자유로운 제조·물류 유통과 무역활동이 보장되고 주변시세 10~30%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 관세유보 혜택 등이 주어진다. 미화 500만달러 이상 외국인투자기업은 임대료가 3년간 50%, 1천만달러 이상 기업은 5년간 50% 감면된다.

부산항 자유무역지역

또 다국적기업, 수출·물류 기업 유치로 투자 촉진과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관련기사

안성일 경제자유구역기획단장은 “이번 확대지정을 통해 글로벌 물류·제조기업 50개사 유치, 1조원 투자, 2만2천명 일자리 창출 등이 예상된다”며 “자유무역지역 확대를 통해 최근 코로나19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입주기업은 개발계획에 따라 인천공항은 올해 말에, 부산항은 내년 초부터 서측 컨테이너터미널 배후단지를 시작으로 모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