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자형 회복을 목표로 적극적인 내수 진작이 시급하다.”
“중소기업·자영업 등 도산방지를 위한 유동성 공급과 함께 취약계층 소득지원, 신산업 친화적인 조세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G20을 활용한 국제정책 공조와 투명하고 적극적인 정책소통으로 국내외 불안요인을 해소해야 한다.”
“저유가의 긍정적 파급효과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중요하다.”
16일 코로나19에 따른 실물경제 파급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주재한 ‘코로나19관련 국책연구원장 간담회’에서 국책연구기관들이 내놓은 처방들이다.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회의실에서 열린 이날 간담회에는 장지상 산업연구원(KIET) 원장, 조용성 에너지경제연구원(KEEI) 원장, 정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직무대행, 강동수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원장이 참석했다.
성윤모 장관은 이날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피해가 실물경제 전반으로 확산하고 지속기간과 파급영향 측면에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수출은 2월 플러스 전환에도 글로벌 수요 둔화로 낙관하기 힘든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고 유가하락도 우리 경제와 수출에 부담이 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성 장관은 “지금과 같은 전례 없는 상황에서는 정부 대응도 평소와 달라야 한다”며 “최악 상황까지 대비하면서 수출피해 최소화와 실물경제 활력 회복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 장관은 이어 “유가하락으로 인한 산업별 영향을 면밀히 살피면서 적기에 대응하고 원유 수급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공급망의 추가 교란요인에 대해서도 철저히 점검하고 공급망 다변화, 국내생산 확대를 통해 외부충격으로 인한 생산과 수출차질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동수 KDI 부원장은 “금융부문 시스템 리스크로 증폭될 가능성이 아직은 높지 않지만 글로벌 공급망 충격은 상당하다”고 분석하고 “중소기업과 자영업 등의 도산 방지를 위한 유동성 공급과 함께 취약계측 소득지원, 신산업 친화적 조세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지상 KIET 원장은 “수출 감소와 생산 부진 등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하고 “기업 경영 애로와 수익악화에 대응하는 정책지원과 함께 V자형 회복을 목표로 적극적인 내수 진작이 시급하다”고 언급했다.
정철 KIEP 원장 직무대행은 “코로나19는 경제활동을 전방위적으로 위축시키는 점에서 과거 위기사례와는 차원이 다르다”고 진단하고 “G20을 활용한 국제정책 공조와 투명하고 적극적인 정책 소통 등을 통해 국내외 불안요인을 해소하는데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 대한상의 "코로나19 피해 막대…추경확대·금리인하 건의"2020.03.16
- 韓美 양국 과학기술정책 수장, 코로나19 대응 공동 논의2020.03.16
- 정부, 코로나19 추경 11.7조원 편성…경기 침체 극복 주력2020.03.16
- "코로나19 위기극복 하자"…팔 걷어붙인 재계2020.03.16
조용성 KEEI 원장은 “최근 유가하락은 코로나19로 인한 수요급감과 OPEC+의 감산합의 실패 등이 원인”이라고 분석하고 “저유가에 따른 자동차 수요와 대형선박발주 증가 효과를 극대화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성 장관은 “코로나19 위기 극복 이후를 위한 준비에도 속도를 높여 기업 투자가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밀착 지원하고 규제혁파에도 앞장서야 한다”며 “우리기업과 실물경제 활력을 회복하기 위한 다각도 방안을 관계부처와 함께 강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