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코로나19 관련, 27일부터 한국발 항공노선 여객에 대한 각국의 입국제한조치가 확대되는 상황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긴급 항공상황반(TF) 운영에 들어갔다.
27일 기준, 코로나19 확산 관련 이스라엘 등 19개국은 한국발 입국자에 대해 입국금지 조치, 대만 등 13개국은 입국절차 강화 등 입국제한조치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항공정책관을 단장으로 정책반, 국제반, 운항반, 보안반, 공항반으로 구성된 긴급 항공상황반을 구성했다.
관련기사
- 산업·국토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비상 대응체계 가동2020.02.28
- 美 관세 폭격에 통상전쟁 전면전…K-자동차·배터리 셈법 복잡2025.04.03
- 롯데도 신세계도…백화점은 왜 ‘타운화’ 선언할까2025.04.03
- '발견형 쇼핑' 실험장...CJ온스타일 성수 팝업 가보니2025.04.03

TF는 항공노선 관련 국제적 동향을 신속하게 파악해 외교채널·항공당국 등을 활용 적극 대응하는 한편, 국제항공 네트워크 및 우리 항공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정부차원의 대응방안을 검토·추진할 예정이다.
김이탁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기존의 중국·일본 등 중화권 위주에서 최근 미주·중동·유럽까지 항공여객 감소가 증가하는 추세”라며 “긴급 항공상황반을 운영해 국제적 동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우리 국민의 불편 및 항공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