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이 세계 최초로 운영을 시작한다.
행정안전부는 음성은 물론 사진과 영상까지 LTE 기반 재난망 운영을 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산불이나 도심화재, 선박 침몰 등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경우 경찰, 소방, 해경, 지자체 등 관련 대응기관이 하나의 통신망을 사용하게 된다.
단일 재난망을 통해 정확한 상황 파악과 효과적인 현장대응이 가능해진다. 이전까지 재난대응은 기관 별로 VHF 또는 UHF 무전기나 KT파워텔 같은 상용망을 사용했다.
행안부는 지난해 10월 재난안전통신망 1단계 사업 구축을 완료했다. 재난망 구축사업은 총 1조5처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중부권, 남부권, 수도권 순으로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우선 1단계 사업 구역인 대전과 세종, 강원, 충청지역 경찰부터 서비스가 시작되며 연말까지 전체 사업을 완료하여 내년부터는 전국에 서비스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재난망 구축으로 재난현장 사진과 영상 전송도 가능해져 의사결정권자의 효율적 대응지시와 관계기관 간의 유기적 협업이 예상된다. 아울러 기존 통신사가 가진 이동기지국, 상용망과 연동해 전국 어디에서나 통신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재난망 운영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서울을 비롯한 대구와 제주에 운영센터를 설치해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전송망을 이중으로 구축해 장애 발생 시에도 통신이 두절되지 않도록 한다.
행안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국가재난통신망을 5G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재난망, 수출모델로 만들 수 있습니다”2020.01.14
- KT, 재난안전통신망 A·B구역 본사업 착수2020.01.14
- 재난망 무전기 사용 기한 2023년으로 연장2020.01.14
- '제 2의 세월호' 막는다… 통합재난망 스타트2020.01.14
권윤섭 경찰청 정보통신계장은 “그동안 사용했던 TRS 무전기나 시범망보다 통화품질이 훨씬 좋고 사진과 영상으로도 타 기관과 통신할 수 있게 돼 보다 효율적으로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게 됐다”면서 “앞으로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도입한다면 긴급 상황은 물론 평상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채홍호 행안부 재난관리실장은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으로 현장 대응에 걸리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더욱 신속하게 지킬 수 있을 것”이라며 “남아 있는 재난안전통신망 2, 3단계 구축사업을 원활하게 진행해 세계최초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