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체감경기는 이미 ‘디플레이션’

컨슈머인사이트, 1~3분기 소비자 체감경제 조사 분석

유통입력 :2019/11/14 12:14

소비자들의 체감경제를 나타내는 경제심리는 이미 디플레이션이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조사 전문기업 컨슈머인사이트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매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례 소비자체감경제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는 ‘국내 경기와 개인 경제가 향후 6개월간 어떨 것인가’에 대해 ‘매우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컨슈머인사이트 측은 지난 1~3분기 동안 점점 비관적으로 변해왔고 소비자는 이미 전형적인 디플레이션 현상을 체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조사문항 가운데 디플레이션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7개 항목 전망지수는 모두 60~90으로 나왔다. 100 보다 크면 긍정적, 작으면 부정적임을 나타낸다.

국내 경기 전망지수는 1분기 70.0에서 3분기에는 63.7로 6.3포인트 하락했다. 일자리 전망도 65.8에서 63.2로 부정적 방향으로 이동했다.

수입전망도 75.3에서 72.5로 2.8포인트 감소했고 저축여력도 71.8에서 66.7로 5.1포인트 줄어드는 등 소비지출 위축을 예고했다.

분기별 체감경제 전망지수(향후 6개월)

컨슈머인사이트 관계자는 “대표적인 지출억제는 85.2에서 78.4로 6.8포인트 하락한 내구재 구입의향에서 볼 수 있다”며 “이는 제조업에 큰 타격을 줄 것이고 기업 운영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물가전망은 58.2에서 60.5로 2.3포인트 증가해 유일하게 덜 비관적인 방향으로 움직였다.

부동산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가족/친구가 부동산을 구입하겠다고 할 때 ‘권유하겠다’는 쪽이 지난 3분기동안 80.3에서 88.7로 8.4포인트 증가했다.

관련기사

컨슈머인사이트 관계자는 “경제 전반 활력이 떨어져 소비와 투자를 억제하고 있지만 소비자가 부동산만은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을 뜻한다”며 “이 조사 이후에 분양가 상한제 도입과 자사고 폐지 계획 발표가 이어지고 관련지역에 가격폭등이 이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당분간 부동산 열풍이 뜨거울 것”으로 내다봤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소비자가 체감하고 있는 경제를 보면 ▲경기에 대한 부정적 전망 ▲일자리 감소 ▲수입 감소 ▲지출 억제 ▲생산 감소에 이어 디플레이션 때 타나나는 물가하락 등 현상이 하나하나 현실화하고 있으며 소비자 체감 디플레이션이 이미 시작됐음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