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비앤비, 과거와 현재 잇는 '안동 한옥' 숙소 상품 판매

수애당·수백재·오류헌 등 고택 상품 준비

인터넷입력 :2019/11/05 10:59

에어비앤비는 경상북도 안동의 한옥에서 직접 살아볼 수 있는 숙소 상품을 판매 중이라고 5일 밝혔다.

한옥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가고 있는 집으로도 불린다. 그중 경상북도 안동은 독특한 매력을 뽐낸다. 안동 하회마을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으며, 다채로운 먹거리와 볼거리를 지닌 지역이다.

대표적인 전통 음식인 안동 간고등어, 전통주 안동소주를 비롯해 500년 역사의 위용을 자랑하는 ‘임청각’, 올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병산서원’, 하회마을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부용대’ 등 우리나라 고유의 멋과 맛을 체험해 볼 곳이 즐비하다.

수애당

대표 상품 중 하나인 '수애당'은 장독대마다 직접 담근 장들이 맛있게 익어가는 한옥이다. 독립운동가 류진걸 선생이 1939년에 지었으며, 1985년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56호로 지정된 후 1987년 임하댐이 건설되자 현재의 장소로 옮겨왔다.

수애당은 류진걸 선생의 손자 부부인 류효진, 문정현 호스트가 운영한다. 부부는 30대 중반 무렵부터 숙소 운영을 이어받았다. 한옥에서 머무는 시간이 여행객들에게도 충전의 시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베개 높이부터 방의 온도까지 세심하게 설정한다. 나무 냄새가 나는 향토방 아랫목에서 잘 수 있으며, 아침식사는 안동에서 자라는 제철재료로 만들어진다.

오류헌

400년 역사를 지닌 고택 '오류헌'도 있다. 14대 장손자인 호스트는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다 이 집의 역사를 지키기 위해 안동으로 돌아왔다. 이제는 아버지에 이어 대학에서 사학을 공부하고 있는 아들까지, 온 가족이 함께 이 집의 역사를 지켜나가고 있다.

오류헌은 국가민속문화재에 등재된 고택이다. 오류헌은 사랑채에 줄을 당겨서 오르내리도록 한 승강식 감실, 물이 새지 않을 정도로 조밀하게 짠 마루 등이 특징이다. ‘조선시대 주택의 내외 생활영역의 구분을 위한 공간분리 전통을 잘 보존한 좋은 예’로 꼽히며 주택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 받고 있는 곳이다.

수백재

'지산고택'은 세월의 흔적을 머금어 고풍스러운 멋을 자아낸다. 경상북도 민속자료 140호로 지정된 지산고택은 약 200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집안 대대로 내려온 2천950점의 유물을 국학진흥원에 의탁하여 보관하고 있어 ‘현존하는 박물관’으로도 불린다. 넓은 잔디 마당을 둔 지산고택은 방마다 대청마루나 툇마루가 있어 차를 마시며 오붓하게 담소를 나누기 좋다. 낮에는 낮은 돌담 너머로 보이는 하회마을의 풍경을 감상하고, 밤에는 처마 위 반짝이는 별을 헤아린다면 마치 선비가 된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관련기사

청운재

하회마을 서쪽 강변길에 자리한' 수백재'는 ‘한옥 방콕’을 원하는 여행자들이 목화솜으로 만든 두꺼운 이불을 덮고 뒹굴거리기 좋은 공간이다. 아래채와 사랑채, 안채로 나뉘어 있어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머물며 추억을 나누기 좋다. 200년이 넘은 이곳은 한옥의 고즈넉함을 유지하면서도 욕실과 침실은 현대적으로 단장해 깨끗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50년이 넘은 전통 한옥인 '청운재'는 와가와 초가가 오랜 역사 속에서도 잘 보존된 곳이다. 대청마루에서는 원하는 찻잔을 골라 따뜻한 차 한 잔과 함께 담소를 나누거나, 사색을 하며 조용한 시간을 보낼 수도 있다. 대청마루 앞에 자리한 큰 감나무에서는 직접 감을 따볼 수 있다. 어스름한 달빛이 내려앉는 마당은 인생샷 남기기 좋은 스팟으로 호스트가 추천하는 장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