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100Km 밖에서도 해양무선통신망으로 연결”

2020년 말까지 LTE-M 구축 목표…안전·항로·해도 등에 활용

방송/통신입력 :2019/10/23 17:52

“현재 바다에서 사용되는 통신은 육상 기지국에서 새어 나온 전파를 활용하는 방식이지만,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이 구축되면 최대 100Km 밖 해역까지 품질을 보증하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진다.”

23일 정부 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공공안전통신망 포럼’에 발표자로 나선 심우성 KRISO 책임연구원은 이같이 말했다.

정부는 해양 안전을 위해 LTE-Maritime(LTE-M)을 구축하고 있다. 2016년부터 시작된 LTE-M 구축 계획은 지난해 5월 본격화된 이후, 내년 12월 구축 완료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LTE-M은 집중관리구역과 관심 구역 등 크게 2구역으로 나눠 진행된다. 집중관리구역은 해안 30Km 지역을, 관심 구역은 해안 100Km 지역 내 통신을 지원한다. 메인 센터는 세종시에 설립되고, 부산·인천 등 6개 지역에는 권역별 로컬 센터가 설립된다.

심우성 KRISO 책임연구원.

심우성 연구원은 “영해 30Km 안쪽인 집중관리구역은 빠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품질을 보장하고, 100Km 상당인 관심 구역은 일부 완화된 품질을 목표로 기지국을 구축할 것”이라며 “메인센터와 로컬센터로 네트워크 품질 보장이 어려운 경우, 선박에 LTE-M 라우터 장비를 구축해 서비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TE-M은 ▲선박 충돌 예방 ▲여객선 모니터링 ▲최적화된 항로 ▲전자 해도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심 연구원은 “대형 선박은 기본적으로 항해·통신 장비를 갖췄기 때문에 사고가 잘 나지 않지만, 장비가 갖춰지지 않은 중소형 선박은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모든 선박을 포괄해서 사고를 예방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여객선이 기울어진다거나 화재가 발생한 상황을 빠르게 모니터링하는 서비스와 어민을 위한 부가 정보가 포함된 '차세대 해도' 서비스에도 활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정부는 LTE-M 구축에 속도를 내는 한편, 국제적 활동을 통해 해양무선통신망을 이슈화하는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심 연구원은 “지난 7월 글로벌 전문가 그룹 회의에서 해양 무선통신망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 촉구가 제기된 이후 이번 달 국제기구가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했다”며 “내년 국제 표준화 회의를 통해 LTE-M을 소개하고 홍보하는 활동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