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대출 음성스팸 100만건 늘고, 중국發 이메일 줄었다

2019년 상반기 스팸 유통현황 발표

방송/통신입력 :2019/09/26 12:02    수정: 2019/09/26 13:08

상반기 휴대폰 스팸 통화와 문자가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해 156만건 증가했다. 이메일은 중국발 스팸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의 올해 상반기 휴대전화 및 이메일 스팸의 발송량, 수신량, 스팸 차단서비스 차단율 등 스팸 관련 현황을 조사한 ‘2019년 상반기 스팸 유통현황’을 26일 발표했다.

스팸 유통현황 조사결과는 지난 2012년부터 매년 두차례 발표되고 있다. 자발적 스팸 감축 노력을 유도하고 국민의 알 권리 증진을 위한 공공데이터다.

■ 불법대출 음성 스팸 100만건 급증

올해 상반기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되거나 스팸트랩 시스템에 탐지된 휴대전화 음성스팸 총 915만건을 분석한 결과, 2018년 하반기 대비 7% 증가한 915만건으로 집계됐다.

발송 경로에 따라 인터넷전화 서비스 48.1%, 유선전화 서비스 39.0%, 휴대전화 서비스 12.9%로 나타났다.

광고 유형별로는 불법대출 54.9%, 통신가입 31.0%, 금융 7.4%, 성인 4.9% 순으로 많이 발송됐다.

특히 불법대출 음성스팸이 2018년 하반기 대비 100만건 이상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문자스팸, 대량발송 서비스가 83.2% 차지

상반기 휴대폰 문자스팸 총 656만건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하반기 대비 17% 증가한 656만건으로 나타났다.

발송 경로별로는 대량문자 발송서비스 83.2%, 휴대전화 서비스 14.5%, 유선 및 인터넷전화 2.3% 순으로로 나타났고, 광고 유형별로는 도박 60.7%, 불법대출 15.4%, 대리운전 4.7%, 금융 4.0% 순으로 많이 발송됐다.

대량문자 발송서비스 사업자 중 KT, 다우기술, 스탠다드네트웍스를 통한 스팸 발송이 94.5%를 차지했다. 광고유형은 도박과 불법대출이 대다수로, 대량문자 발송서비스가 도박과 불법대출 스팸의 주요 유통 경로로 사용된 것으로 분석된다.

■ 중국발 스팸 이메일 대폭 감소

올해 상반기 한국인터넷진흥원 스팸트랩 시스템에 탐지된 이메일 스팸 총 2천64만건을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발송된 이메일 스팸은 76만건, 해외에서 국내로 발송된 이메일 스팸은 1천988만건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발송된 이메일 스팸은 지난해 하반기 대비 10% 감소한 76만건으로 집계됐다. 발송 경로는 KT 34.6%, LG유플러스 26.5%, SK브로드밴드 21.1% 순으로 나타났다.

해외에서 발송된 이메일 스팸은 지난해 하반기 대비 44.8% 감소한 1천988만건으로 중국발 스팸이 1천500만건 감소한 점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

이는 중국의 스팸대응기관(12321 센터)과 스팸정보를 공유해 협력을 강화하는 등 국외 이메일 스팸 감축 노력을 기울인 결과로 풀이된다.

■ 1인당 1일 평균 스팸 수신량은 0.53건

전국 만 12~59세 휴대전화와 이메일 이용자 각 1천500명을 표본으로 5월23일부터 일주일간 조사한 결과, 국민 1인당 1일 평균 스팸 수신량은 0.53건으로 나타났다. 휴대전화 음성스팸은 0.07건, 문자스팸 역시 0.07건으로 조사됐다. 이메일 스팸은 0.39건이다.

휴대폰 스팸 발송량이 증가하면서 수신량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문자스팸의 수신량 증가는 도박스팸과 대출 금융스팸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도박스팸은 다수의 번호를 사용하면서 스팸내용을 교묘히 변경해 가며 발송하는 방식을 통해 통신사의 필터링 및 KISA 차단 시스템을 우회함에 따라 차단이 어려워지고 있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주식권유 등 대출금융광고는 메시지 내용만으로 불법여부 확인이 어려워 다소 느슨한 필터링 기준을 적용한 점이 수신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상반기 26주간 이동통신사의 문자스팸 차단율을 측정한 결과, 10건 중 평균 8.5건이 차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자별 차단율은 SK텔레콤 93%, KT 85.1%, LG유플러스 75.3% 순이다.

최성호 방통위 이용자정책국장은 “스팸이 단순히 불편을 끼치는 광고성 정보를 넘어 사기, 도박 등 범죄 수단으로 악용되는 현상이 확대되고 있어 각별한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빅데이터 분석과 데이터 개방을 통해 국민의 더 큰 2차 피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계기관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