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공대 개교·운영에 1.6兆원…다음달 설립신청

한국전력공사, '한전공대 기본계획안' 발표

디지털경제입력 :2019/09/17 17:30    수정: 2019/09/17 17:31

한국전력공사가 다음달 초 교육부에 에너지분야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인 '한전공과대학교(한전공대, 가칭)' 설립을 신청한다. 대학 설립·운영비로 2031년까지 총 1조6천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됐다.

한전은 학교시설·규모와 설립·운영비 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한전공대 설립 기본계획안'을 17일 공개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한전공대는 전남 나주 부영CC 부지 40만 제곱미터(㎡)에 설립돼 오는 2022년 3월 개교한다. 대학원생 600명, 학부생 400명, 교수 100명, 직원 100명 규모다. 교수와 학생의 비중을 국내 최고수준인 1대10으로 유지할 방침이다.

2031년까지 설립과 운영비용으로 총 1조6천112억원이 투입된다. 이 중 절반은 정부와 전남도·나주시 등 지자체가 부담키로 했다. 한전에 따르면 개교까지는 한전과 자회사가 부담하고, 개교 이후 정부와 지자체도 함께 분담하는 것으로 확정됐다. 주체별 분담금액은 향후 구체적인 논의를 통해 마련된다.

한전공대 부지로 선정된 전남 나주 부영CC 일원. (사진=뉴시스)

정부는 한전공대 설립에 '최소 지자체 수준'으로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공기업인 한전의 재무상황이 1년새 급격히 악화한 상황이 고려됐다. 이에 대해 한전은 "정부의 예산지원을 위해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과 '에너지 공공기관의 인재양성 지원 특별법' 등 제정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학부, 대학원 모두 단일학부(에너지공학부)만 개설된다는 점도 주목된다. 산·학·연 클러스터와 대형 연구시설도 함께 들어선다.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는 '에너지밸리 사이언스 파크'도 조성된다. 정부가 주도하는 첨단연구시설인 '4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 유치에도 나선다.

관련기사

한전이 다음달 초 교육부에 학교법인 한전공대 설립을 신청하면 대학 설립절차는 본궤도에 오르게 된다. 교육부의 대학 설립 검토는 약 3개월이 소요될 전망이다. 업계는 연말 착공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한전은 학교법인 설립을 위한 창립총회를 조만간 개최할 예정이다. 창립총회는 학교법인 설립에 필요한 절차를 처리한다. 초대 이사장에 김종갑 한전 사장을 비롯해, 개방이사와 교육이사 등 7명 이상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