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이과 구분이 폐지되는 2022학년도 수능에서는 국어·수학 영역에 공통과목과 함께 영역별 선택과목 1과목을 선택해서 응시해야 한다. 사회·과학탐구는 계열구분 없이 최대 2과목을 선택해 응시할 수 있다. 국어·수학·탐구는 상대평가, 영어·한국사·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가 도입된디. 수능 EBS 연계율은 기존 70%에서 50%로 축소된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을 13일 밝혔다.
지난해 8월 발표된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은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 해당한다.
국어, 수학 영역은 ‘공통+선택과목’ 구조에 따라 공통과목과 함께 영역별 선택과목 가운데 한 과목을 선택해서 응시하면 된다. 국어는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중에 선택하고 수학은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에서 고르면 된다.
탐구영역은 수험생이 자유롭게 선택해서 응시한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계열 구분 없이 17개 과목 가운데 최대 2과목을 응시할 수 있다. 직업탐구영역은 2과목 응시 시 전문공통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과 계열별 선택과목(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상업 경제, 수산·해운 산업의 기초, 인간 발달) 가운데 1과목을 선택해서 응시한다. 1과목을 응시할 때는 계열별 5개 선택과목 가운데 1과목을 선택해서 응시한다.

국어, 수학 영역은 영역별 전체 문항 가운데 공통과목 75%, 선택과목 25% 수준으로 출제한다. 문항 유형은 현행과 마찬가지로 객관식 5지 선다형으로 하되,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과 선택과목별 문항 수의 30% 수준(총 9문항)에서 단답형 문항을 출제한다.
국어, 수학 영역 문제지는 탐구 영역, 제2외국어/한문 영역과 동일하게 공통과목과 선택과목 문항을 단일 합권(1권) 형태로 제공한다. 수험생은 본인이 원서 접수 시 선택한 선택과목을 찾아서 응시해야 한다.
또 한국사/탐구 영역 시험에서는 수험생에게 한국사와 탐구영역 답안지를 분리해서 별도 제공한다.
상대평가 과목이었던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로 전환하고 한국사, 영어 영역과 동일하게 고정점수 분할방식에 따라 9등급으로 구분해 등급을 부여한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원점수 45점(1등급)부터 5점 간격으로 등급을 구분한다.

국어, 수학, 탐구 영역은 성적통지표에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모두 기재된다. 절대평가로 실시되는 한국사, 영어, 제2외국어/한문은 등급만 기재된다. ‘공통+선택과목’ 구조로 실시하는 국어 영역과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을 이용한 선택과목 점수 조정 절차를 거친 후 등급을 부여한다.
관련기사
- EBS, 수능 채점서비스 제공…등급컷 포함2019.08.12
- EBS, 수능 모의고사 문제집 파일 무료 배포2019.08.12
- 독자 AI 프로젝트, K-AI 깃발 올렸다…10조 업고 G3 향해 출항2025.09.09
- 희비 갈린 뷰티 라이벌...아모레 ‘재정비’ 성공 vs LG생건 ‘중국 리스크’2025.09.09
한국사 영역은 현행과 동일하게 필수로 응시하고 한국사 영역 이외 시험 영역(과목)은 자유롭게 선택해서 응시한다. 또 영역별 총 문항 수와 배점, 시험기간 및 시험 순서도 현행과 같다. 한국사와 영어 영역은 절대평가로, 국어, 수학, 탐구(사회·과학·직업) 영역은 상대평가로 현행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2022년도 수능은 2021년 11월 18일 시행되며 성적은 2021년 12월 10일 통보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