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1분기 영업익 3226억원…전년비 0.9%↓

MNO 사업 부진했지만 미디어-보안-커머스 자회사 선방

방송/통신입력 :2019/05/07 10:27    수정: 2019/05/07 10:27

SK텔레콤이 선택약정할인율 상향과 약정할인 가입자 비중 증가에 따른 무선사업 손실을 미디어, 보안, 커머스 등 자회사의 호실적으로 만회했다.

SK텔레콤은 7일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지난 1분기에 매출 4조3천349억원, 영업이익 3천226억원, 순이익 3천736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7% 증가했다. 통신비 인하 정책에 따른 이동전화 수입 감소를 최소화한 결과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했다. 마케팅비용 효율화와 자회사 실적 개선을 통해 만회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SK텔레콤 T타워 사옥

직전 분기 대비 매출은 0.4% 소폭 감소했다. B2B 연간 사업 실적이 4분기에 반영된 계절적 기저효과다.

또 직전 분기 대비 영업익은 43.2%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1회성 비용에 따른 영향과 함께 실적에 본격 편입된 보안 자회사의 영업이익이 더해진 수치다.

당기순이익은 반도체 경기 하락 영향으로 자회사 SK하이닉스의 지분법 이익이 감소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46.1%, 전분기 대비 21.3% 줄었다.

사업 별로 보면 무선(MNO) 사업 매출은 2조4천1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감소했다. 1분기 12만7천명의 순증 가입자를 끌어들이며 총 핸드셋 가입자는 2천847만2천명을 기록했다.

MNO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은 전년 동기 대비 8.0% 감소한 3만645원을 기록했다. 통신비 인하 정책 영향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1분기 MNO 사업 마케팅 비용은 7천1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 감소했다.

미디어 사업 분야에서 IPTV 매출은 3천15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했다. 직전분기에 홈쇼핑 송출수수료 소급 반영에 따라 전분기 대비 5.2% 감소한 수치다.

1분기 IPTV 가입자는 11만9천명 순증을 기록, 누적 485만명을 기록했다. UHD 가입자 비중은 3월말 기준 57.0%다.

본격적으로 실적에 편입되기 시작한 ADT캡스와 SK인포섹 등 보안 자회사의 사업 매출은 2천76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까지는 NSOK 실적만 반영됐지만 보안 자회사의 연결 실적 영향력이 커졌다.

관련기사

커머스 분야의 성장도 두드러진다. T커머스 사업을 하고 있는 SK스토아의 성장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한 1천992억원을 기록했다. 또 e커머스 사업의 11번가가 분기 손익분기점(BEP)을 달성한 점이 주목된다. 이에 따라 커머스 사업의 영업이익은 분기 흑자로 전환했다.

윤풍영 SK텔레콤 코퍼레이트센터장은 “SK텔레콤 4대 사업부의 균형있는 성장과 AI, IoT, 빅데이터, 모빌리티 등 R&D 영역의 신규사업 발굴을 통해 회사가 지향하는 뉴ICT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경영실적도 지속적으로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