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SK이어 '삼성 반도체 클러스터'도 시동

화성에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추진 계획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19/04/17 18:01    수정: 2019/04/17 18:01

정부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성장 동력 중 하나인 시스템 반도체 산업 육성에 나선다. 앞서 SK하이닉스와 용인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를 조성한 것처럼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생산시설이 위치한 화성에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가칭)를 조성할 것으로 보인다.

17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국내 반도체 업체들을 대상으로 시스템 반도체 육성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담은 ‘시스템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의 수립을 완료했다. 산업부는 올해 상반기 중 시스템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할 예정으로 관련 계획안을 청와대에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반도체 업계 한 관계자는 “산업부가 시스템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의 가안을 청와대에 보고하고 발표 시점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용인과 화성을 반도체 상생 클러스터로 만들겠다는 게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용인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가 조성되는 경기 용인 처인구 원삼면 일대의 모습. (사진=뉴스1)

시스템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중심으로 여러 산업이 융·복합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향후 급격한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시스템 반도체 분야를 중점적으로 육성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자율주행차, 5세대 이동통신(5G), 인공지능(AI) 등에 필요한 시스템 반도체를 설계하고, 이를 생산하는 국내 팹리스(반도체 설계)·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산업부 한 관계자는 “시스템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발표시점을 밝히기 어렵지만, 최대한 조속한 시일에 이를 발표하겠다는 방침”이라며 “정책 방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핵심이 되는 다양한 시스템 반도체를 육성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세계 2위 파운드리 기업으로 도약한 ‘삼성’…시스템 반도체 상생 생태계 조성 나서

반도체 업계에서는 시스템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의 핵심으로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생산시설이 위치한 화성이 클러스터(산업단지)로 부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세계 1위의 메모리 반도체(D램, 낸드플래시) 기업인 삼성전자가 미래 성장 동력으로 파운드리 사업을 적극 육성해 지난해 세계 2위로 도약하는 성과를 낸 것과 무관치 않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를 주축으로 국내 팹리스 업체들과 상생 생태계를 조성해 시스템 반도체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도록 유도하겠다는 게 정부의 전략이다.

실제 삼성전자는 최근 극자외선(EUV) 노광기술을 이용한 5나노미터(nm·10억분의 1미터) 미세공정 개발을 발표하고, 국내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위해 ▲멀티 프로젝트 웨이퍼(1장의 웨이퍼에서 여러 종류의 반도체를 생산하는 방식) ▲에코시스템(설계 자산, 공정 설계 키트, 설계 방법론, 자동화 설계 툴 등 지원)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삼성전자 화성 EUV 생산라인 전경.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파운드리 사업은 반도체 장비, 소재, 디자인, 패키징, 테스트 등 다양한 전문 업체들이 함께 성장해야 하므로 전후방 연관 효과가 크다”며 “삼성전자가 첨단 초미세 공정 파운드리 생산의 핵심 기술을 확보함에 따라 국내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가 강화되는 동시에 시스템 반도체 역량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 시스템 반도체 육성책, 현실적인 대·중소 기업 상생 방안 담겨야

국내 중소·중견 팹리스 및 파운드리 기업들은 정부의 이 같은 정책기조에 보다 현실적인 육성책을 마련해야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간 정부가 추진한 시스템 반도체 발전전략이 대기업과 관계된 협력업체들을 양성하는 수준에 그쳤다는 한계 때문이다.

국내 팹리스 업체 한 관계자는 “국내 1위 파운드리 업체인 삼성전자는 규모의 경제를 이유로 중소 팹리스 업체들로부터 물량을 수주 받지 않는 게 현실”이라며 “삼성전자 홀로 시스템 반도체 상생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것은 결국 협력업체들만 혜택을 본다는 것이다. 중소·중견 기업을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스타기업으로 육성하는 정책 방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1998년부터 30여 년간 시스템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시스템IC2010, 시스템IC2015)을 추진했지만, 국내 팹리스 산업의 경쟁력이 중국보다 뒤쳐진 수준에 그치는 현실을 더 고려해야한다는 것이다.

지난 15일 산업부 주최로 열린 '반도체 산업 수출 간담회' 현장. (사진=지디넷코리아)

실제로 시장조사업체 IC 인사이츠에 따르면 전 세계 상위 50위 팹리스 기업 중 10개 기업은 중국 업체가 차지하고 있다. 나아가 전 세계 팹리스 매출액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기준으로 11%에 달한다. 더욱이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팹리스 상장사 24개 중 13곳은 지난해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경영위기를 맞고 있다.

국내 파운드리 업체 한 관계자는 “국내 팹리스 업체들의 기술력이 글로벌 기업 대비 떨어지는 게 현실이지만, 개발단계부터 대기업과 팹리스 업체들이 실력을 키울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며 “예컨대 삼성전자가 기존의 협력업체 외 중소 팹리스 업체들까지 개발단계부터 프로젝트에 참여시켜 경쟁력을 키우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에 일각에서는 정부의 지원하에 민간 기업들(팹리스, 파운드리 등)이 직접 운영하는 공용 파운드리 팹을 구성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중소 팹리스 업체들의 지속적인 수익창출을 위해서는 공용 파운드리 팹을 통한 안정적인 수주확보가 해법이라는 것이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연구원은 “국내 팹리스 업체를 육성하는 제일 좋은 방법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생산하는 주요 완제품에 국내 팹리스 업체들이 설계한 반도체를 적극 채용하는 것이지만, 이는 기술력 문제로 한계가 있다”며 “중국은 로컬 기업 위주로 산업을 육성하는 게 가능하지만, 글로벌 기업인 삼성과 LG는 국내 팹리스 업체들이 생산하는 반도체를 모두 수용하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보다는 안마의자나 전기밥솥 등 우리나라가 시장을 주도하는 새로운 완제품을 중심으로 팹리스 업체가 설계한 반도체를 적극 채용하는 방법으로 팹리스 업체들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