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아이디어·시장성 본다"

과제 책임 이재용 국토연구원 센터장 인터뷰

컴퓨팅입력 :2019/03/25 16:13    수정: 2019/03/28 09:58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이 다른 사업과 다른 점은 지자체 여건에 상관없이 도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자가망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지, 통합운영센터를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등의 물리적 인프라는 평가하지 않는 대신 지자체와 참여기관의 의지를 더 보려고 한다."

이재용 국토연구원 스마트·녹색도시연구센터장은 지디넷코리아와의 인터뷰에서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에 관해 이같이 강조했다.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은 국토부가 시행하는 다양한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 중 하나다. 미국에서 지난 2016년 진행된 '챌린지 사업'을 벤치마킹했다.

이 사업의 특징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지자체가 민간기업·대학과 협력해 경쟁방식으로 공모한다는 점이다. 민간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지자체와 시민 수요를 반영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다.

이 센터장은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챌린지 관리운영사업에 대한 과제책임자 역할을 맡고 있다. 과제책임자는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에 대한 평가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1단계에서 6개 사업을 선정한 후 2단계 사업을 평가한다. 올해는 사업 시행 1단계로 내년에 예산을 확보해 2단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재용 국토연구원 스마트·녹색도시연구센터장

국토부는 다음달 중 10명 이내로 공모선정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1차 서면평가에서 10개 사업지, 2차 발표평가에서 6개 사업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서류평가 비중은 60%로 기준은 ▲계획의 적정성과 실현가능성 ▲시민 중심의 스마트시티 구현 ▲거버넌스 구성 등 추진체계 적정성 ▲스마트시티 솔루션 구축·실증방안 ▲사업효과 등이다.

40%를 반영하는 발표 평가는 ▲지자체 추진의지와 실현가능성 ▲참여주체의 사업화 의지 ▲사업 추진 시 기대효과 등을 중심으로 본다.

이 센터장은 "물리적 인프라를 평가기준에서 빼는 대신 지자체의 추진의지와 참여주체의 사업화 의지에 같은 점수를 배분했다"며 "사업에 참여하는 민간기업의 의지도 지자체 의지만큼 반영해 지자체와 민간기업이 협력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예산 배분 후에도 계속해서 정부가 사업을 점검한다는 점도 특징이다. 이 센터장은 "사업에 최종적으로 선정되고 나서 지원금을 받는 것으로 끝이 아니다"며 "평가 기준을 보면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한번 솔루션을 구축하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과정을 보고 사업화할 의지가 얼마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선정되기 위해서는 얼마나 현실성있는 모델을 제시하느냐가 관건이다. 특정 지역에만 적용되는 사업을 제안하기보다는 전국으로 확산할 수 있는 보편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편이 유리하다.

이 센터장은 "예를 들면 스마트 횡단보도 같은 경우 사소하다고 느껴질 수 있지만 횡단보도는 어디에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시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며 "반면 아무리 크고 거창한 아이디어를 내놓더라도 시장성이나 상품성이 없으면 선정될 확률이 낮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어 "전국적으로, 나아가서 해외 시장으로까지 확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찾고자 한다"며 "스마트시티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공공성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접수는 다음달 1일부터 5일까지로 결과는 4월 말 공표될 예정이다. 이 센터장은 "매칭 사업이 아니라서 지자체 예산을 따로 확보할 필요가 없고 준비 기간이 길어 원활한 준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자체가 주도권을 가지고 사업비는 민간기업이 가지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상호간 협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