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된 지 약 2년이 지난 오피스텔의 임대 수익률이 신축 오피스텔 임대 수익률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정보 서비스 직방은 18일 국토교통부 오피스텔 실거래가 1,2월치를 분석한 결과, 서울에서 2017년 후에 준공된 신축 오피스텔의 임대 수익률은 3.89%로 나타났다. 2017년 이전에 준공된 오피스텔의 임대 수익률이 4.35%인 것에 비하면 0.46%p 낮다.
임대수익률은 (월세X12)/(매매-보증금)X100으로 계산한다.

수도권 중 경기는 신축과 기존 오피스텔 임대 수익률이 각각 3.83%, 4.67%, 인천은 각각 4.18%, 4.79%로 서울과 마찬가지로 신축 오피스텔의 임대수익률이 기존 오피스텔보다 낮게 나타났다.
부산(신축 3.89%/기존 5.08%), 대구(신축4.33%/기존 5.48%), 대전(신축5.75%/기존 7.65%), 광주(신축 6.36%/기존 6.41%), 울산(신축 4.20%/기존 10.29%)도 모두 신축 오피스텔의 임대 수익률이 오래된 오피스텔 보다 낮았다.
관련기사
- 직방 “3월 전국아파트 3만6115세대 입주예정”2019.03.18
- 직방, ‘허위매물아웃연구소’ 설립2019.03.18
- 직방 "2월 아파트 분양물량, 예년의 2배"2019.03.18
- 직방, 밀레니얼 세대 주거 모습 담은 새 CF 공개2019.03.18
서울 내 임대 수익률 차이가 큰 지역은 금천(-1.79%p), 서초(-0.96%p), 영등포(-0.47%p), 강남(-0.41%p) 등으로 나타났다. 경기는 시별로 안양 만안구(-2.56%p), 고양 덕양구(-1.18%p), 안산 단원구(-1.06%p), 부천시(-1.03%p) 등으로 임대 수익률이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직방 함영진 데이터랩장은 “신축 오피스텔 임대 수익률이 더 낮은 이유는 오피스텔 매매가격이 상대적으로 더 높기 때문”이라며 “반면 월세가격은 공실부담을 우려한 임대인과 지역 내에서 형성되는 임차인이 부담 가능한 월세 가격의 영향으로 기존 오피스텔과 비슷하거나 약간만 높은 선으로 형성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