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엑스블록시스템즈(애스톤 프로젝트)가 전자문서 특화 블록체인 플랫폼인 엑스블록체인을 출시했다.
엑스블록시스템즈는 5일 서울 스파크플러스에서 엑스블록체인 기술발표회를 열고, 엑스블록체인 메인넷 개발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엑스블록체인 기술 시연도 진행됐다.
엑스블록체인은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으로 전자문서의 위변조를 검증한다. 권용석 엑스블록시스템즈 CTO는 “기술 발전에 따라서 문서 작성이나 편집의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높아졌지만, 위변조의 생산성도 같이 높아졌다”며 “현존하는 전자문서와 관련한 신뢰 구현 방법은 전자문서에 대한 접근 통제를 엄격하게 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지만, 복잡해지기만 했을 뿐 안전성이 담보되지도 않는다”고 지적했다.

엑스블록체인은 바로 이 지점에서 탄생했다. 권 CTO는 “엑스블록체인은 전자문서의 신뢰 구현 방법을 바꿨다”며 “반드시 지켜내야 할 중앙을 더 잘 지키는 게 아닌, 그 중앙 자체를 해체해 제 3자의 개입 없이도 믿을 수 없는 당사자끼리 신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블록체인을 택했다”고 전자문서에 블록체인을 적용한 이유를 소개했다.
엑스블록체인은 다차원 구조의 블록체인으로, 크게 메인체인과 서브체인으로 이뤄진다. 권 CTO는 “블록체인의 전체 데이터 사이즈와 그로 인해 증가하는 노드운영 비용이 문제”라며 “엑스블록체인은 체인 구조 자체를 변경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해당 줄기만을 따서 독립적으로 보관 운영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서브체인은 에셋체인과 데이터체인으로 구성된다. 에셋체인은 암호화폐 자산을 기록하는 체인이며, 데이터체인은 암호화폐 자산을 갖지 않고 오로지 위변조 검증을 위한 데이터로만 이뤄진 체인이다. 따라 계정도 자산을 확인할 수 있는 에셋 어카운트와 문서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 데이터를 담고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어카운트 2가지로 구성된다.

문서의 위변조 검증은 엑스블록체인에 검증하고 싶은 문서를 엑스블록체인 플랫폼에 올려 계좌를 발급받고, 해당 계좌를 입력하면 처음 발급한 원본 문서의 계정과 일치하는지 확인해 위변조 결과를 알려주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따라 처음 문서를 만들어내는 발급기관이 엑스블록체인의 플랫폼에 올라가 있어야 위변조 검증이 가능하다. 원본 문서의 계정이 있어야 대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엑스블록시스템즈는 향후 다양한 파트너들과 협력해 엑스블록체인에 최대한 많은 디앱이 올라가도록 할 계획이다.
김승기 엑스블록시스템즈 대표는 “기존 전자문서 시장의 강자들과 얼라이언스를 맺어 그쪽의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엑스블록체인의 퍼블릭 블록체인을 연결하고, 새롭게 시작하는 스타트업과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블록체인 지불결제·자산토큰화에 주목하라"2019.03.05
- '델리오'- '애스톤' 비즈니스 협력...토큰 스왑도2019.03.05
- 블록체인 문서인증 애스톤, 싱가포르 거래소 비코인 상장2019.03.05
- 블록체인 애스톤 대표, 암호화폐 거래소에 쓴소리2019.03.05
올 상반기에는 엑스블록체인 기반의 헬스케어 플랫폼 헥스포트와 한국전력의 재증명 관리 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다.
김 대표는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메인넷 개발이 필수”라며 “지금 블록체인 업계가 죽음의 고개에 있지만, 블록체인이 허상이 아니라 실제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