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음성무료 로밍 ‘baro’, 베트남서 200만 콜 돌파

일본 이어 두번째...요금 부담없는 음성 로밍 인기

방송/통신입력 :2019/02/24 09:00    수정: 2019/02/24 09:15

SK텔레콤 로밍 서비스 ‘baro’가 베트남에서 총 누적 콜 수 200만콜을 돌파했다. 국가별 누적 콜수 200만콜 돌파는 일본에 이어 베트남이 두번째다.

서비스 론칭 두달 만에 1천150만 콜, 누적통화 20만시간을 기록한 ‘baro’은 요금부담 없이 통화가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또 통화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선명하고 지연 없는 고품질의 통화를 전세계 어디서나 즐길 수 있다.

SK텔레콤 가입자는 데이터로밍 요금제만 가입하면, T전화로 해외에서 ‘baro’를 통해 한국에 있는 상대방과 요금 부담없이 통화할 수 있다.

데이터망과 음성망의 연동이라는 로밍 방식의 혁신으로 통화품질 개선 뿐만 아니라 이용 편의성도 대폭 향상됐다. T전화 이용자는 해외로밍이 가능한 전세계 170여개 국가에서 본인 전화번호 그대로 국내 이용자 누구와도 고품질 통화가 가능해졌다.

‘baro’는 전화번호를 그대로 쓸 수 있어 기존 모바일 메신저나 mVoIP 서비스가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끼리 통화할 수 있는 것과 달리 통화 상대에 제한이 없다. 통화 상대가 T전화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 100여종 단말 맞춤 서버 튜닝으로 베트남 현지 최적화

SK텔레콤은 개발 팀원 10여명을 베트남 현지에 급파해 보름동안 동굴과 계곡 등 베트남 오지를 돌며 통화 테스트와 음성 딜레이를 최소화 하는 알고리즘을 T전화 앱과 서버에 적용했다.

기존 음성 로밍통화 기준, 전체 통화의 10%를 차지하던 베트남은 현지 망 상태가 나빠 통화 품질이 매우 불안정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서비스 개시 이후에도 무선망 품질이 열악한 베트남의 3G 환경에서 최적통화가 가능하도록 T전화 내 통화엔진을 최적화해 해외망 환경에서 통화품질과 안정성 개선을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LTE에서 최적화된 T전화의 통화엔진을 3G 환경에서도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서버 튜닝을 지속적으로 실행한 것이다.

SK텔레콤은 ‘baro’ 서비스를 시작한 후 베트남의 망 상태에 맞춘 서버 개발 외에도 100여종의 단말기로 하루 1천회 이상 통화테스트를 진행해 각 제조사, 단말기별 통화품질도 개선했다.

그 결과 음성로밍 이용 시 통화연결 지연이 길던 베트남 다낭, 호이안 지역에서 기존 10초이상 걸리던 통화연결 시간이 현지 최적화 후 1초까지 짧아졌다. 통화품질도 비약적으로 개선됐다.

■ 음성로밍 통화를 데이터 기반으로 혁신

SK텔레콤의 ‘baro’는 지난 2015년부터 계속된 기술개발 노력을 통해 실현됐다. SK텔레콤은 기존 음성 로밍을 뛰어넘는 통화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진행했다.

우선 로밍 혁신을 위해 기존에는 음성 서비스 전용으로 이용된 HD보이스망을 개방형 구조로 개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외데이터망과 국내음성망을 연동하는 기술 방식을 상용화해 ‘baro’ 서비스에 도입했다.

기존 음성로밍이 현지 국가망(해외망), 국가와 국가간을 연결하는 국제망, 국내망의 모든 구간에서 음성망을 이용하는 반면, ‘baro’는 해외 국제 구간에서는 데이터 망을 이용하는 mVoIP 방식을 도입했다.

SK텔레콤은 이후 데이터 망을 통해 국내로 들어온 음성을 HD보이스 시스템인 IMS를 기반으로 음성망과 연동했다. 또한 기존 음성통화에 비해 2.2배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는 고음질 음성 코덱을 적용, 기존 음성로밍 대비 20% 이상 선명한 품질의 통화를 구현했다.

관련기사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지난 1월 미국 CES 기자간담회에서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전 세계 통신사 중 오직 SK텔레콤 밖에 없다”며 “지난해 로밍 제도 개편 이후 로밍에 대한 고객 만족도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혁신적이고 남들이 따라할 수 없는 서비스를 계속 선보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