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없는 카카오, 넥슨 사는 방법 뭐가 있을까

컨소시엄 구성·채권발행·텐센트 자금 활용

인터넷입력 :2019/01/30 11:45    수정: 2019/01/30 14:04

2016년 멜론(구 로엔엔터테인먼트)을 2조원에 가까운 거금을 들여 인수했던 카카오가 이번에는 대형 게임사인 넥슨 인수 검토에 나선 사실이 알려져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카카오가 넥슨 인수전에 본격 뛰어들 경우, 인수 형태와 이를 위한 자금 마련 방안에도 관심이 쏠린다.

현재 넥슨 인수를 검토 중인 기업으로는 중국 게임업체인 텐센트와 글로벌 사모펀드인 KKR, 칼라일, MBK파트너스 등이 거론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과 투자사 틈바구니 속에서 카카오가 넥슨 인수전에 뛰어든다면 전략적 투자자들과의 연합 또는 사모펀드와 컨소시엄 방식으로 지분 인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시가총액 약 8조3천억원인 카카오가 넥슨 인수에 필요한 10조원 이상의 자금을 마련할 현실적 방안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 3년 전 멜론 인수 때 어땠나?

카카오는 2016년 1월 멜론 운영사인 로엔엔터테인먼트 지분 76.4%를 1조8천700억원에 인수한다고 발표할 당시에도 충분한 현금이 없었다.

이에 카카오는 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으로부터 각각 4천억원씩 모두 8천억원을 6개월 만기로 브리지론 형태의 단기 대출을 받았다. 2014년 연결기준 자기자본 대비 32.2%에 해당되는 돈을 빌린 셈이다.

이어 카카오는 700억원 규모의 사모채권을 발행해 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에 팔았으며, 2천억원 규모의 공모채권을 추가 발행함으로써 8천억 규모의 단기 대출금을 일부 갚기도 했다.

카카오는 대출과 채권발행 등으로 마련한 자금과, 자체 보유한 현금 3천200억원 등을 더해 당시 멜론의 최대주주였던 스타인베스트홀딩스와 2대주주였던 SK플래닛에 인수대금을 지불했다. 나머지 금액은 유상증자를 통한 카카오 신주를 발행해 두 회사에 넘겼다.

멜론 인수 때 끌어다 쓴 차입금 중 일부가 아직 상환기한에 따라 남아있는 상태지만, 이는 현재 현금으로도 모두 상환이 가능한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 멜론 인수 때처럼?...텐센트 힘 이용할 수도

만약 카카오가 넥슨 인수전에 비중 있는 플레이어로 참여하겠다는 전략을 세운다면 현금 자산과 더불어 멜론 인수 때와 같은 단기대출과 채권발행,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금을 마련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카카오가 1년 내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자산은 1조5천억원 상당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방안으로 카카오의 2대 주주인 텐센트에 카카오 또는 카카오게임즈 지분을 추가로 넘기고 투자금을 끌어오는 방법도 가능한 시나리오다. 카카오 입장에서는 넥슨이 가진 개발력과 유통 플랫폼 효과를 보는 동시에, 중국 최대 게임사인 텐센트와의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다질 수 있는 방안이다.

이미 넥슨 인수 가능성을 열어둔 텐센트나 김정주 NXC 대표 입장에서도 한국 대기업이 중국 회사에 팔린다는 부정적 인식을 피하면서, 이미 지분 투자 관계가 있는 텐센트가 카카오를 통해 자연스럽게 넥슨을 끌어안는 전략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텐센트는 현재 카카오 지분 6.7%를 보유해 카카오의 2대 주주다. 또 텐센트는 자회사를 통해 카카오게임즈에도 500억원을 투자, 지분 6%를 갖고 있는 상태다.

이 밖에 올해 상장 계획이 있는 카카오게임즈의 주식 판매 자금을 추후 활용하는 방법도 가능해 보인다.

관련기사

카카오 관계자는 이번 넥슨 인수 검토에 확대 해석을 경계하면서도 “경쟁력을 갖춘 한국 게임사가 매물로 나왔는데 검토조차 하지 않는 건 아니지 않냐”라면서 “넥슨이 가진 훌륭한 개발자 풀과 게임 개발 경험 등을 중국 등 해외에 팔리게 놔두는 게 옳을까란 측면에서 검토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이어 “실직적으로 넥슨 인수전에 뛰어든다면 투자은행(IB)을 주관사로 선정해야할 텐데 아직 그 단계는 아니다”며 “평소 여러 법률적 자문을 구하고 있는 법무법인 세종에 넥슨 인수에 필요한 법률적인 검토를 일상적인 수준에서 문의한 정도”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