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인 금융이해력 OECD 평균 밑돌아

금융지식·행위·태도 모두 저조..."소득 낮고 연령 높을수록 더 낮아"

금융입력 :2019/01/28 15:33    수정: 2019/01/28 15:48

소득이 낮거나 연령이 높을 수록 금융이해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은 우리나라 만 18세이상 79세이하 성인 2천400명을 대상으로 '2018 전 국민 금융이해력 조사'를 실시한 결과 2018년도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2.2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5년도 평균 점수인 64.9점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해력 조사 항목 중 국내 금융지식 부문의 평균 점수는 65.7점, 금융행위는 59.9점, 금융태도는 61.3점으로 모든 항목이 OECD 평균을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지식 부문의 OECD 평균 점수는 69.1점, 금융행위(61.3점) 금융태도(65.6점)이다.

금융지식은 소비자가 금융 상품이나 서비스를 비교하고 적절한 정보에 입각해 금융 의사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 기본 지식을 지칭한다. 금융행위는 재무계획과 관리, 정보에 입각한 금융상품 선택 등 금융과 관련해 소비자가 하는 행위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 지를 조사한다. 금융태도는 소비와 저축, 현재와 미래, 돈의 존재가치 등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낸다.

국내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소득과 연령에 따라 점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4.9점으로 가장 높았다. 18~29세(20대)를 제외할 경우 연령이 높아질 수록 금융이해력 점수는 낮아졌다. 20대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1.8점이었으며, 40대 64.1점· 50대 63.1점·60대 59.6점·70대 54.2점으로 집계됐다.

이중 청년층인 20대의 금융행위 및 금융태도는 각각 58.4점과 57.7점으로 전체 평균 59.9점과 61.3점을 하회했다. 즉, 청년층은 금융과 관련한 행위를 전반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돈을 모으기보다는 현재 쓰는 것을 선호한다고 응답한 것이다.

소득별로는 월 소득 420만원 이상인 계층의 금융이해력 점수가 가장 높은 65.6점으로 집계됐다. 반면 월 소득이 250만원 미만인 계층의 이해력 점수는 58.0점으로 가장 낮았고 월 250만~420만원 이상인 계층의 점수는 62.8점으로 나왔다.

남녀의 금융이해력 수준은 비슷했다. 남자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2.3점, 여자의 이해력 점수는 62.1점이다. 이중 남자는 금융이해력 조사 항목 중 금융지식 문항의 점수가 높았다. 남자의 금융지식 문항 점수는 67.1점이며 여자의 금융지식 문항 점수는 64.3점이다.

관련기사

여자 응답자의 경우에는 금융태도 문항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여자의 금융태도 점수는 62.4점이며 이 항목의 남자 응답자 점수는 60.2점이다.

한국은행과 금감원은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이 전반적으로 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앞으로 경제·금융교육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저소득층 및 노년층 등 취약계층의 교육이 강화돼야 한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