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이동체 기술개발 73억원 쓴다

과기정통부,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개발사업 확정 추진

과학입력 :2019/01/20 12:00    수정: 2019/01/21 07:47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개발사업 2019년도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올해 총 73억원을 투자한다고 20일 밝혔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최초로 R&D와 공공조달을 연계한 공공혁신조달 체계를 도입한 점이 특징이다. 올해는 일부 내역이 종료됨에 따라 창출된 연구성과의 공유, 확산, 기술이전 등을 활성화하고 평가를 내실화하는 부분에 주력키로 했다.

특히 과제별 연구성과 중 중소기업 수용도가 높은 기술을 모아 기술보급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주요 권역별로 교육 및 워크숍을 실시해 기술이전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개발사업 개요 및 ’19년도 예산

우선 실효성을 점검하고 개선사항을 발굴하기 위해 오는 24일 부산 벡스코에서 시범운영을 추진한다. 또한 연구성과 중 국방 분야 활용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 사장되지 않고 후속연구 지원을 통해 실제 상용화로 연계될 수 있도록 ‘드론·로봇 분야 민군협력 협의회’를 통해 산업부, 국방부와 적극 협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급증하는 드론 활용에 대비해 저고도 공역에서 다수 드론이 안전하게 운용될 수 있도록 교통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2단계 연구를 지원한다.

관련기사

운용 중인 드론의 소유자 식별, 실시간 관제 등이 가능하도록 정밀통합 항법기술, 정보교환 단말장치, 불법행위 억제기술의 개념검증을 완료하고 올해부터 실증연구에 착수한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상용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보다 혁신적인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특히 올해 5G 이동통신이 본격 상용화 되는 만큼 무인이동체 분야에서도 그 흐름에 맞춰 새로운 서비스를 선점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