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中시장, 디지털 혁신으로 승부”

상하이 건설기계 전시회 방문…건설기계 5G 원격제어도 선봬

디지털경제입력 :2018/11/29 16:19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29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건설기계 전시회 ‘바우마 차이나(Bauma China)’에 참가해 “품질은 기본으로 갖춰야 하며 이제는 디지털 혁신으로 중국시장에서 승부를 걸어야 한다”고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최근 전사적으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추진 중인 박 회장은 이번 전시회에서 참가 업체들 부스를 돌아보며 디지털과 정보통신(IT)를 활용한 최신 기술을 꼼꼼히 살폈다.

전시회에는 박 회장 외에도 이현순 그룹 최고기술책임자(CTO) 부회장, 동현수 두산 부회장, 손동연 두산인프라코어 사장 등 최고 경영진이 함께 찾아 건설기계 산업 동향을 살펴보고 중국시장을 점검했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29일 중국 상하이에서 ‘바우마 차이나(Bauma China)’에 참가해 “품질은 기본으로 갖춰야 하며 이제는 디지털 혁신으로 중국시장에서 승부를 걸어야 한다”고 밝혔다.(사진=두산그룹)

두산인프라코어는 이번 전시회에서 5G통신 기반 원격제어 기술을 첫 공개했다. 박 회장은 전시장에 설치된 5G 원격제어 스테이션에서 모니터를 보며 두산인프라코어 인천공장에 있는 굴삭기를 원격으로 작동시키는 등 기술력을 점검했다.

건설기계 5G 원격제어 기술은 초고속, 초저지연, 대용량 전송이 특징인 5G 통신을 활용해 원거리에서도 무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첨단 기술이다. 그동안 업체들이 근거리 원격제어 기술을 선보인 적은 있으나 ‘상하이-인천’처럼 국가 간 원격제어로 실제 작업을 시연한 것은 이번 두산인프라코어 시연이 최초다.

전시회 첫날부터 많은 관심을 모은 원격제어 시연은 오차 없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당초 하루 2회 시연회를 진행하려 했으나 딜러와 관람객의 시연 요청이 많아 중단 없이 계속 진행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해 굴삭기와 휠로더, 굴절식 덤프트럭 등 건설장비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서비스 ‘두산커넥트(DoosanCONNECT™)’를 중국과 유럽, 북미 등 글로벌로 확대한 바 있다.

지난 4월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스타트업 회사 ‘포테닛’과 투자계약을 맺고 건설기계 무인화?자동화 기술 고도화에 나서는 등 첨단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박 회장은 “전통적 제조업일수록 디지털 혁신을 통한 차별화 결과는 더 크게 나타난다”며 “첨단 기술을 더 고도화하고 디지털 혁신 과제들을 지속 추진하면서 한 단계 뛰어 올라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2016년 그룹회장에 취임 후 현장 경영을 꾸준히 펼쳐온 박 회장은 중국시장에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쏟아왔다. 취임 직후 첫 해외 사업현장 방문지로 당시 시장 상황이 크게 나빴던 중국을 택했으며 매년 한 차례씩 중국을 방문했다.

이후 두산 중국시장 매출은 두산 자체 사업과 두산인프라코어 실적 호조를 바탕으로 2015년 6천억원에서 2017년 1조 4천억원 수준으로 크게 증가했다.

관련기사

특히 두산인프라코어는 지난해 중국시장에서 총 1만851대 굴삭기를 판매하며 전년도 판매량의 2배를 넘었다. 올해는 8개월 만에 지난해 판매량을 초과했고 올 한해 판매량 목표치도 조기 달성했다. 3분기 건설기계 중국 누계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62.2% 상승한 1조613억원을 기록했다. 두산인프라코어의 중국 굴삭기 시장 점유율도 2015년 6.7%에서 올해(10월 누계기준) 8.5%까지 높아졌다.

두산은 중국시장에서 이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 13조2천836억원, 영업이익 1조503억원을 거뒀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2%, 16.2% 성장한 수치다. 지난해 4년 만에 연간 영업이익 1조원대(1조1천799억원)로 복귀한 뒤 거둔 성과라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