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으로 쇠고기 위생·안전 보증한다

정부, 축산물이력시스템 구축…내년 시범서비스

컴퓨팅입력 :2018/11/20 15:51    수정: 2018/11/20 20:46

정부가 축산물 이력관리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다. 쇠고기 위생과 안전문제가 발생할때 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다. 시범사업후 내년 1월부터 전북지역 축산농가와 도축장에 실제로 적용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IoT)을 접목한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을 오는 12월까지 전북지역에 시범적으로 구축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 6월에 발표한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의 핵심 추진과제인 ‘6대 공공시범사업’ 중 하나다. 과기정통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협업해 올 초부터 진행해 왔다.

축산물 이력제는 소 사육단계부터, 도축, 식육포장, 판매단계까지의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함으로써 축산물에 대한 위생과 안전 문제 발생 시 신속히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제도다.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현행 축산물 이력제는 단계별 이력 관련 정보를 대부분 5일 이내에 신고해야 한다. 이에 따라 신고 전 문제 발생시 이의 이력정보를 파악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우려가 있다. 하지만, 영세 사업자들에게 신고 기간 단축을 강제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농림축산부에 따르면 단계별 일평균 신고 건수가 출생과 도축은 각 3천 건, 포장은 7만3천 건에 달한다.

하지만 단계별로 각종 증명서(도축검사증명서, 등급판정확인서, HACCP인증서, 친환경 인증서, 거래내역서 등 총 5종)를 종이로 전달(복사 등)하는 과정에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위변조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다.

정부가 구축하는 ‘블록체인 기반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은 쇠고기 유통 단계별 이력정보와 각종 증명서를 블록체인에 저장 및 공유, 현행 이력제 업무의 신뢰성과 신속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는게 정부 판단이다.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우선 축산농장과 개별 소에 근거리 통신장치(블루투스)를 부착하는 등 IoT를 활용해 사람 개입 없이 관련 정보를 자동 입력한다. 또 쇠고기 유통에 필요한 각종 증명서도 블록체인에 저장해 단계별 당사자 간 서류 위변조 걱정 없이 모바일 앱이나 웹으로 증명서 내용을 공유 및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번 시범 서비스는 내년 1월부터 전북지역 축산농가와 도축장 등에서 실제로 운영된다. 농식품부는 시범사업 성과를 면밀히 분석해 참여 기관을 확대하고 돼지 등 다른 가축 이력제에 적용하는 것도 검토한다.

또 이번에 구축한 축산물 이력관리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민간의 추가 정보(창고 온도 및 습도 등)도 함께 관리, 부가가치가 높은 축산물 유통 서비스가 나오도록 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김정원 과기정통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이번 시범사업은 블록체인 기술이 식품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 단계의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 국민 먹거리 안전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 “내년에도 블록체인 기술이 식품과 같이 국민생활과 밀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병홍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블록체인이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면 정부 주도 관리 및 감독이 아닌, 제도 참여자가 관련 법규를 스스로 준수하게 돼 정부입장에서도 상당한 업무 효율화가 기대 된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