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한 투명반도체 소재를 컴퓨터 계산을 통해 발굴해낼 수 있게 됐다.
한국연구재단은 한승우 서울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양자계산을 통해 투명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여줄 신소재 선별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투명반도체는 스마트 기기의 터치 패널, 광고용 투명 디스플레이 등 실생활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SF영화처럼, 평범한 유리 위에서 뉴스 영상과 정보 글을 볼 수 있는 기술도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투명 반도체 성능이 향상되면 발광소자, 태양광발전, 터치패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이 기대된다.
하지만 기존 투명 반도체는 소재가 가진 물성의 한계 때문에 폭넓은 분야에서 상용화되는 데 제약이 있다.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 두 가지 물질의 성능이 모두 높아야 하는데, 지금까지 알려진 P형 반도체 소재는 대체로 낮은 성능을 나타냈다.
연구팀은 컴퓨터 계산만으로 우수한 P형 반도체 물질을 선별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적용해 수많은 물질을 신속하게 선별해 구리리튬산화물(CuLiO), 란타넘옥시텔루라이드(La2O2Te) 등 투명하면서도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P형 반도체 후보군을 새롭게 발굴했다.
재단은 특히 연구팀이 물질 내 수소 불순물 에너지를 이용해 이전 연구들과 차별화된 높은 정확도를 선보였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끝나지 않은 '삼성 보고서 공개', 더 큰 고비 남았다2018.04.23
- 법원, 삼성 작업환경보고서 공개 보류 결정2018.04.23
- 월간 반도체 수출, 100억弗 첫 돌파2018.04.23
- 삼성 작업보고서 공개 보류..."국가핵심기술 포함"2018.04.23
한승우 교수는 “신물질 선별을 실험으로 규명하기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돼 불가능하다고 여겨졌으나, 앞으로 훨씬 짧은 시일 내에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게 됐다”며 “연구를 통해 선별된 새로운 P형 반도체를 통해 고성능 투명 전자기기의 산업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해당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네이처 제휴 매체 '엔피제이 컴퓨테이셔널 머터리얼즈'에 지난 3일 논문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