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시대 지능형 디바이스 생산 촉진을 위해 정부가 구상중인 '디바이스 원스톱 지원센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12일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주재한 ‘5G 시대 지능형 디바이스 제작 지원 전략 간담회’에 참석한 통신 3사와 중소기업 임원들은 정책지원 요청 방안 등을 논의했다. 토론에 앞서 과기정통부는 민간 디바이스 제작 자생력 강화, 해외 진출 방안 등의 내용을 담은 지능형 디바이스 제작 지원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의 발표안 가운데 ‘디바이스 원스탑 지원센터’ 구축 방안은 실제 국내 중소기업과 벤처에 필요한 내용이라는 의견이 잇따라 나왔다.
디바이스 원스톱 지원센터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디바이스 제작 애로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과 인증 컨설팅, 인허가와 같은 법제도 지원 등을 하는 역할을 맡게 될 곳이다. 판교, 대구, 송도, 용인, 충북, 전주 등 전국 6곳의 ICT 디바이스랩을 연계해 권역별 지원체계로 운영되는 방식이 꼽히고 있다.
KT 디바이스본부의 김병균 상무는 “5G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생태계가 필요한데, 과기정통부에서 발표한 전략 중에 디바이스 원스톱 지원센터가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소기업은 제품을 만들고 사업을 수주하려고 하는데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는 일정 이슈가 항상 발생한다”면서 “새로운 기술을 적용해보는 것을 원스톱 지원센터에서 해본다면 통신사와도 빠르게 접목해볼 수 있는 것들이 많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LG유플러스 5G추진단 내 5G표준디바이스팀의 박일수 상무도 같은 뜻을 밝혔다.
박일수 상무는 “4G에서는 회사에서 오픈이노베이션랩이라는 곳에서 파트너 회사들이 연동 테스트를 하고 있다”며 “5G에서는 협력사에 어떤 역할을 바라냐고 물으면 시험망 지원이 필요하고, 계측기가 매우 비싸지기 때문에 장비 지원 이야기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 발표 중 원스톱 지원센터에서 이런 역할을 맡아 시제품 단계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각 통신사의 콘텐츠를 연동하는 것이 디바이스 제작 중소기업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바이스 제작에 이어 해외 진출을 위해서는 표준화된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최낙훈 SK텔레콤 IoT사업지원그룹장은 “기본적으로 플랫폼 관점에서 보면 데이터 융합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화재 감시 센서를 예로 들면, 불이 난 상황을 소방서에 알리는데 끝나지 않고 소방차가 지나갈 길을 막고 있는 차량을 치워야 하기 때문에 교통관제와도 연계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유영민 장관 "5G, 글로벌 기업만 좋은 일 시킬까 걱정"2018.03.12
- 유영민 “일상 속 5G, 지능형 디바이스 활성화돼야”2018.03.12
- 유영민 장관 “5G 서비스 모델 발굴이 선결과제”2018.03.12
- MWC서 빛난 ‘韓 5G’..."선점효과 기대"2018.03.12
최낙훈 상무는 또 “스마트기기에 들어간 기술은 하나의 플랫폼 안에서 버티컬 서비스로 따로 가더라도 데이터 부분은 이처럼 플랫폼 자체를 공통된 표준화 플랫폼이 필요하다”며 “이런 서비스가 해외로 수출이 되어야 서비스나 디바이스 관련 중소기업들이 많은 이득을 얻을텐데 표준화 플랫폼을 바탕으로 다른 곳에 이식하기 쉽게 만들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유영민 장관은 이에 “매우 중요한 지적이다”며 “5G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만들어내는데 그치지 않고 해외 시장에 나갈 수 있는 기반을 처음부터 고려해야 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