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데이터 소모 25% 줄이는 기술 나왔다

SKT-SKB, 옥수수 앱에 고압축 효율 HEVC 코덱 적용

방송/통신입력 :2017/09/14 10:01    수정: 2017/09/14 10:01

SK텔레콤이 스마트폰에서 동영상을 시청할 때 데이터 이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기술을 상용화한다. 옥수수 앱 인기 채널을 시작으로 동영상 스트리밍 데이터 절감을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고효율 비디오 코덱(HEVC)을 옥수수의 실시간 채널 12개에 오는 28일부터 적용한다.

HEVC는 현재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비디오 코덱 AVC 대비 압축 효율이 2배 우수하다. 동일한 화질의 콘텐츠를 절반의 데이터만으로 제공하거나 데이터 용량을 유지하면서 화질을 2배 향상시킬 수 있다.

■ 옥수수 주요 채널 시청할 때 데이터 25% 절감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옥수수에 HEVC를 적용해 데이터 절감과 화질 개선 모두를 추진하기로 했다.

풀HD, HD급 영상의 경우 데이터는 25% 절감할 수 있다. 화질 개선 필요성이 높은 SD와 LD급 화질은 기존 데이터 전송률을 유지하며 화질을 대폭 개선하는 방향으로 HEVC가 적용된다.

HEVC는 실시간 트래픽 상위 12채널인 드라맥스, 연합뉴스TV, 올리브, 채널A, JTBC, JTBC2, MBN, TV조선, tvN, O tvN, XTM, YTN 등에 우선 적용된다. 이 채널 옥수수 실시간 트래픽은 전체에서 50%를 차지한다.

김문철 KA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동영상 특성에 따라 HEVC 표준 기술로 화질을 개선하거나 데이터를 절감하도록 비중을 조절해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에도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HEVC 서비스가 일부 제공됐지만 본격적으로 확산되지는 못했지만 2014년 6월 이후 출시된 주요 스마트폰에 HEVC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디코더 칩이 탑재되면서 HEVC 기반 콘텐츠 활성화의 기반이 마련됐다.

삼성전자 갤럭시S5 광대역 LTE-A, LG전자 G4 이후에 출시된 스마트폰에서는 옥수수 앱 업그레이드 만으로 HEVC 기반의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타 통신사 이용자도 옥수수 앱에서 동영상을 시청할 때 데이터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 HEVC 콘텐츠 확산으로 데이터 이용 다이어트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가 옥수수에 HEVC를 적용하면서 다른 콘텐츠 제공 사업자들도 HEVC 적용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에는 영상 콘텐츠 소비가 유선망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유선 서비스는 정액 요금제 가입자가 많아 콘텐츠의 데이터 크기는 소비자에게 별로 중요하지 않았지만 이동통신을 통한 영상 콘텐츠 소비가 점차 확산되면서 데이터 절감 기술 도입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5G시대에는 UHD 등 고화질 콘텐츠와 360VR 등 몰입형 영상 콘텐츠 이용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들의 데이터 부담을 덜어주는 차세대 코덱의 중요성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2008년부터 HEVC 표준화에 참여해 이미 180여건의 표준특허를 등재한 SK텔레콤은 2016년10월 세계 표준의 날에 대한민국 기술경쟁력 제고와 기술 수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5G시대를 준비하며 HEVC보다 2배 압축 효율이 높은 차세대 비디오 코덱 개발을 위해 JVET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장홍성 SK텔레콤 미디어기술원장은 “데이터 절감과 화질 개선으로 갤럭시노트8, V30 이용자들의 편익이 증진될 것”이라며 “HEVC가 국내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전반에 확산되어 고객의 ‘데이터 다이어트’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