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정보기술, 국방력 강화에 쓰인다

미래부-국방부 합동 제17차 ICT 정책해우소 개최

과학입력 :2017/05/03 12:02

앞으로 군 경계근무가 지능화 되는 등 지능정보기술이 국방분야에 활용될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최재유 차관 주재로 2일 국방부에서 ‘국방-ICT융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제17차 ICT 정책해우소’를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해우소에는 KAIST, 연세대 등 학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국방연구원 등 연구기관, 국방-ICT 융합 관련 기업 등 총 28명이 참석했다.

국방부는 그간에 추진한 국방-ICT 정책을 소개하고 최근 더욱 부각되는 안보문제에 대응해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한 국방-ICT 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등 향후 정책 과제들을 제안했다.

미래부는 인구감소에 따른 군병력 감소, 국방예산의 성장률 정체 등 국방 환경 변화에 대응해 지능정보기술 활용을 통해 국방력을 제고하기 위한 ‘국방-ICT 융합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또한 국방환경 변화에 대응한 전략적 국방 R&D 추진 방안, 출연연 등이 추진하는 원천기술 R&D 결과물의 군적용 방안 및 국방 R&D 결과물의 민간기업 활용 방안 등을 소개했다.

유신씨앤씨는 미래부와 국방부의 대표적인 협업 사업인 ‘격오지 부대 원격진료체계 구축’ 사례를 발표하고 성과를 공유했다. 원격진료체계는 의료혜택이 제한되는 격오지부대 장병들에게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도록 화상으로 진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군의무사령부 중심의 원격진료 통합 시스템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원격진료 통합 시스템에 의한 진료가 1만 건을 넘었으며 격오지 부대 장병들의 만족도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63개 격오지부대에서 시스템을 운용중이나 2017년말까지 76개 지역에 설치를 완료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날 참석자들은 다가오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해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국방-ICT융합 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출생인구 감소에 따른 군 입대 대상자 감소와 국방개혁 기본계획에 따른 군 병력감축 등에 대응해 군 경계임무를 무인화지능화하는 등 군 전력운영지원, 교육훈련 체계 및 장비유지보수 분야 등의 다양한 국방 업무영역에서 병력 대체를 위한 ICT 융합 방안이 논의됐다.

또한, 국방예산 증가율이 큰 변동 없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고가의 군 전력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방안, 방대한 국방의료 데이터를 활용해 우리 장병들이 건강한 군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 등도 논의됐다.

관련기사

마지막으로 더욱 고도화지능화 되어가는 국가 및 국방에 대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전통적인 정보보호 기술에서 진일보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석 기술 등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최재유 차관은 “우리의 ICT기술 수준은 세계 최고임에도 불구하고, 국방-ICT 융합 수준은 선진국 대비 72% 수준에 불과하다”며, “국방-ICT 융합을 위해 민관군의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며, 정부는 지능정보기술 기반으로 국방력이 제고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