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IoT' 기술기준 개정…KT·LGU+, 전국망 구축 나선다

KT·LGU+ 4월 시범서비스 거쳐 6월 상용화 계획

방송/통신입력 :2017/03/30 12:00

정부가 세계 최초 NB-IoT 기술을 적용한 전국망 구축이 가능하도록 기술기준 개정을 완료하면서, KT와 LG유플러스가 본격적인 NB-IoT 서비스 제공에 나설 수 있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립전파연구원은 LTE 대역을 활용하는 새로운 IoT 기술인 NB-IoT를 국내에 도입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30일 밝혔다.

NB-IoT(Narrow Band IoT) 기술은 기존의 이동통신(LTE) 주파수를 활용한 저전력·광역(LPWA, Low-Power Wide-Area) IoT 기술의 하나로, 저용량 데이터를 간헐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에 적합한 검침, 추적, 센싱 등에 주로 활용되며 초저전력으로 배터리 교체 없이 수년 이상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고용량·고속·광역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는 LTE·5G등 이동통신망이, 저용량·저속·단거리 서비스는 Blutooth, Zig-bee 등이, 고용량·고속·단거리 서비스는 와이파이, WiGig 등 무선랜이, 저용량·광역서비스는 LoRa, SigFox, NB-IoT 등이 활용되고 있다.

KT와 LG유플러스는 NB-IoT 전국망을 이용해 검침·측정서비스(수도·가스·전기 검침, 대기·수질 측정), 위치추적서비스(노약자 위치추적, 애완동물 관리, 자전거 분실방지), 센싱서비스(화재, 유해물질, 가스 등 모니터링, 건축물 균열감지), 제어서비스(빌딩자동화, 홈자동화, 놀이동산 관리)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NB-IoT 기술 적용을 검토하면서 미래부와 국립전파연구원은 이동통신사, 기지국·단말기 제조사, 학계,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연구반을 통해 기술방식, 사물인터넷 이용자보호 방안 등을 검토하고, NB-IoT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인접대역에 전파간섭이 없는지 여부를 실측을 통해 확인했다.

또한 실제 간섭여부 측정 결과 인접대역에 근접하여 NB-IoT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이격 거리와 불요발사기준을 충족하면 전파간섭영향이 없음을 확인하고, 그 기준을 전기통신사업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에 반영했다.

이번 기술기준 개정으로 이동통신 3사가 모두 LPWA IoT 전국망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KT와 LG유플러스는 다음달부터 NB-IoT 망구축 및 시범서비스를 시작하고 6월부터 상용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NB-IoT 기술은 스페인에서 쓰레기 청소 등에 부분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전국망 구축에 활용되는 것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다.

미래부 측은 "앞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지능정보기술이 적용된 융합 신산업의 핵심인 스마트 공장을 비롯해 국민 후생을 증진시키는 스마트 시티, 스마트 홈, 스마트 도로 등 구현에 NB-IoT 기술이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