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이용률 80%…60세 이상도 50% 돌파

이용실태조사…99.9%가 무선랜 이용

인터넷입력 :2017/03/21 15:21

전체 가구의 대부분이 모바일, 광랜 등의 방법으로 인터넷 접속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터넷 이용자도 꾸준히 늘어 우리나라 만 3세 이상 인구 10명 중 8명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60대 이상 노년층의 인터넷이용률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최근 ‘2016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최종보고서’를 발표, 국내 이용자 인터넷 이용 현황 등을 공개했다.

■ 만 60세 이상 51.4% 인터넷 이용, 남성이 여성보다 높아

먼저 2016년 7월 현재 전체 가구의 99.2%(전년 대비 0.4%p 증가)가 가구 내에서 모바일 인터넷, xDSL, 케이블모뎀, 광랜 등의 방법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터넷 접속방법은 거의 모든 가구에서 무선랜(99.9%)을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했으며, 3G나 LTE 등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도 99.9%였다. 이어 광랜(아파트랜, FTTH 포함) 75.1%, xDSL 8.0%, 케이블모뎀 7.2%, 와이브로 3.4% 순이었다.

또 만 3세 이상 인구의 인터넷 이용률(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인터넷이용자 비율)은 88.3%로, 전년 대비 3.2%p 증가했다. 인터넷 이용자수는 4천363만6천명으로, 전년에 비해 169만6천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 60세 이상 노년층의 경우는 인터넷이용률이 51.4%(505만3천 명)로 조사돼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성별 인터넷 이용률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았다. 만 3세 이상 남성의 인터넷이용률은 91.0%(전년 대비 2.6%p 증가), 여성의 인터넷이용률은 85.6%(전년 대비 3.7%p 증가)로 조사됐다. 성별 구성비로는 남성이 51.5%, 여성이 48.5%를 차지했다.

연령별 인터넷이용률은 10대의 경우 100%였으며, 20대가 99.9%, 30대가 99.8%, 40대가 99.4%를 기록했다. 한편 50대 인터넷이용률도 94.9%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60대(74.5%)와 70세 이상(25.9%)은 각각 전년 대비 14.9%p, 8.0%p 높은 증가폭을 나타냈다.

■학력 높고, 잘 살수록 인터넷 이용률 높아

학력별 인터넷이용률은 대졸이상(대학원 포함) 고학력자의 인터넷 이용률은 99.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고졸(대학생 포함) 95.2%, 중졸(고등학생 포함) 78.7%, 초졸이하(초중학생 포함 65.3%순이었다.

가구소득별 인터넷이용률은 월평균 400만원 이상인 가구원이 96.4%를 기록해 가장 높았다. 반면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인 경우 인터넷이용률은 42.1%로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인터넷 접속방법은 유선(76.0%)보다 무선 접속(97.7%)이 많았다. 무선 인터넷 접속의 경우 3G/LTE 등 이동전화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사용이 97.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와이파이 등 특정 범위 내에서 무선인터넷 사용이 74.1%로 뒤를 이었다. 와이브로 등 무선인터넷 사용은 4.8%에 그쳤다.

■10명 중 6명, 인터넷 10년 이상 사용

또 만 3세 이상 인터넷이용자 10명 중 6명(60.4%)은 인터넷을 평균 10년 이상 이용한 장기 인터넷이용자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5~10년 미만(19.7%), 2년 이상~5년 미만(11.8%) 등의 순으로 높았다.

인터넷 이용기간이 15년 이상인 장기 인터넷이용자의 경우 남성(38.3%)이 여성(31.7%)에 비해 많았고, 연령대별로는 30대(58.0%), 40대(54.9%)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인터넷 이용시간은 만 3세 이상 인터넷이용자의 48.8%가 일주일에 평균 14시간 이상 이용하고 있으며, 주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은 14시간17분(하루 평균 2시간)으로 조사됐다. 또 남성(15.6시간)이 여성(12.9시간)에 비해 긴 것으로 나왔다. 연령별로는 20대가 주평균 22.8시간으로 가장 길었고, 다음으로 30대(19.5시간) 10대(15.4시간) 40대(15.3시간) 순이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주요 장소로는 '가정'이 94.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회사(직장)(44.6%)', '상업시설(42.5%)', '공공시설(28.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만 3세 이상 인구의 모바일 인터넷이용률(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이동전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인터넷 이용)은 85.9%로 조사됐다. 또한 최근 24시간 이내 모바일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했다는 의견은 79.3%로 집계됐다.

또 만 3세 이상 모바일 인터넷이용자의 10명 중 2명(24.4%)은 일주일에 평균 14시간 이상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인터넷을 이용했다. 주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은 8시간 37분(하루 평균 1시간 14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률 92.5%, 인터넷쇼핑 이용률 57.4%

관련기사

한편 만 6세 이상 인터넷이용자 중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률은 92.5%였으며, 이메일 이용률은 59.1%였다. 아울러 만 12세 이상 인터넷이용자 중 25.3%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했으며, 57.5%는 인터넷뱅킹을 이용했다. 또 만 6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의 49.7%는 모바일 게임을 이용했다.

이 밖에 만 12세 이상 인터넷이용자의 57.4%는 인터넷쇼핑을, 77.4%는 위치정보 서비스를 이용했다. 만 6세 이상 인터넷이용자 중 65.2%는 SNS를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