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방사선 치료 부작용 줄인다

배인화 박사팀, 암전이 억제 가능성 제시

과학입력 :2016/12/23 08:12

최경섭 기자

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하는 재발 가능성이나 부작용 등을 줄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국내 연구진들이 암 환자에 대한 방사선 치료후 암 전이 촉진 인자와 그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막는 암 전이억제 유전자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최창운) 배인화 박사팀은 방사선 처리 시 발현이 증가하는 인터루킨-4가 암 전이를 가속화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인터루킨-4를 조절하는 마이크로알엔에이(miRNA)-340과 -429를 찾아냈다. 인터루킨-4(Interleukin-4)는 활성화된 면역세포의 세포성장을 자극하고 분화시키는 등 많은 생물학적 기능을 말한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다양한 암에서 높게 발현되는 인터루킨-4가 방사선 처리 후 13배 정도 증가되어 암세포를 더욱 악화시킴은 물론 전이 역시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실제 인터루킨-4 발현이 억제된 유방암 세포를 실험동물에 주입한 후 방사선 처리한 결과 암이 폐로 전이되는 발생빈도가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40%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루킨-4를 낮춰주는 유전자인 miRNA-340/429는 방사선 처리 후 발현이 감소되므로 방사선과 이 유전자를 함께 처리하면 인터루킨-4의 발현을 낮추어 암세포 재발이나 악를 막아주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