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전기차 충전 예약 시대 오나

KT “급속충전 예약 가능한 시스템 개발 완료”

카테크입력 :2016/10/12 17:02    수정: 2016/10/12 17:04

모바일 앱으로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전기차 충전을 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같은 기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곳은 차지비(ChargeEV) 충전 인프라를 운영하고 있는 포스코 ICT와 이동형 충전기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는 KT 등 크게 두 곳으로 나눠진다.

포스코 ICT는 이미 차지비 모바일 앱에 ‘충전 스팟 예약’ 기능을 도입했다. 전국 각지에 분포된 차지비 충전기를 대상으로 자신이 원하는 충전 시간을 설정한 후, 해당 시간에 맞춰 충전할 수 있다.

KT는 포스코 ICT보다 더 광범위한 충전 예약 시스템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서울 가산동 공중전화부스 활용 전기차 급속충전기에서 충전중인 아이오닉 일렉트릭 (사진=지디넷코리아)

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한 미래창조과학부 주최 ‘사물인터넷국제전시회’에서 만난 KT 관계자는 “올 연말 출시 예정을 목표로 전기차 충전 관련 모바일 앱을 준비하고 있다”며 “전국 각지에 분포된 고정형 충전기를 대상으로 모바일 앱 충전 예약을 시킬 수 있도록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KT 관계자가 이야기하는 고정형 전기차 충전기는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 포스코 차지비,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등에서 운영하는 급속 및 완속충전기등을 뜻한다. RFID 무선 인식기를 활용한 이동형 충전 지역은 해당 사항에 포함되지 않는다.

충전 예약 시스템이 활성화되면, 사전에 ‘ev.or.kr' 이나 ’evwhere.or.kr'등에서 제공하는 충전소 위치 현황 웹사이트를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충전 완료를 알리는 모바일 공지 시스템이 보편화되면 충전으로 인한 전기차 사용자들간의 갈등을 줄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관련기사

KT 관계자는 “환경부가 이같은 시스템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열어줘야 예약 시스템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충전 예약 시스템 활성화가 언제 이뤄질지는 아직까지 알 수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이에 대해 “급속충전기에 충전 예약 관련 기능을 넣으려면 충전기 제작사들간의 협의가 필요하다”며 “기술적인 내용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지금 현 시점에서 모바일 충전 예약이 활성화될지는 아직 모른다”고 답변했다.

KT는 사물인터넷국제전시회에 아이오닉 일렉트릭과 신형 i30를 전시하고 커넥티드 카,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을 홍보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