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니뱅크, 안드로이드폰용 칩 기반 보안모듈 도입

인터넷입력 :2016/07/21 15:05

손경호 기자

신한은행이 제공하고 있는 모바일뱅크앱인 '써니뱅크'에 안드로이드폰에 탑재된 칩을 활용한 보안모듈이 도입된다.

신한은행은 인터페이와 업무협약을 맺고 오는 3분기 중 이 같은 기술을 써니뱅크에 적용한다고 21일 밝혔다.

인터페이는 반도체 설계회사 ARM이 제공하는 '트러스트존(TZ)'이라는 칩 기반 보안영역을 활용해 일회용 비밀번호(OTP)를 안전하게 생성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공급 중인 핀테크 기업이다.

기존 OTP생성기, 보안카드는 물론 별도 앱을 통해 OTP를 만들어내는 스마트OTP, 공인인증서까지도 대체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왼쪽부터 김근묵 인터페이 대표, 조용병 신한은행장.

써니뱅크는 현재 환전, 무방문 중금리 대출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이다. 여기에 인터페이가 가진 보안모듈을 적용해 사용자 인증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면서도 이전보다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대부분 안드로이드폰에는 ARM의 기술을 바탕으로 한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가 탑재됐다. 따라서 인터페이 보안모듈이 도입될 경우 많은 고객들이 모바일 뱅킹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신한은행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신한은행 관계자는 "업무협약은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보안기법을 이용해 은행권 최초로 도입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며 "써니뱅크에 우선적으로 도입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비대면 금융채널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터페이는 신한금융그룹 핀테크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퓨처스랩 2기 핀테크 기업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