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1분기 영업익 23.8%↑...수익성 높은 RV판매 늘어

영업익 6천336억 23.8%↑

카테크입력 :2016/04/27 10:21    수정: 2016/04/27 11:20

정기수 기자

기아자동차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급증했다. 환율 개선과 고수익 차종의 판매 확대가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기아차는 27일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1분기 경영실적 콘퍼런스콜을 열고 ▲매출액 12조6천494억원 ▲영업이익 6천336억원 ▲세전이익 1조467억원 ▲당기순이익 9천446억원 등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기아차 관계자는 "원·달러 환율 상승과 스포티지·K7 등 신차효과, 그리고 RV 판매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이익이 크게 늘었다"며 "주요 시장 신차 투입과 고수익 차종 비중 확대 등을 통해 2분기 이후에도 실적 호조세를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중국형 신형 스포티지(현지명 KX5)(사진=기아차)

기아차는 올 1분기(1~3월)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대비 0.7% 감소한 68만6천대를 판매했다. 기아차의 글로벌 현지판매는 경기 둔화에 따라 중국 등 신흥시장에서 감소했으나 주요 선진시장에서 수요 대비 큰 폭으로 늘어나며 이를 상쇄시켰다. 국내시장 판매는 카니발원·쏘렌토·스포티지 등 RV 판매 호조에 최근 출시한 K7, 모하비의 신차효과가 더해지며 전년 대비 11.4% 증가했다.

미국 판매는 볼륨차종인 쏘울과 카니발·스포티지 등 RV 판매 호조로 전년대비 3.7% 증가했고 유럽 판매는 승용차급의 판매 회복과 신형 스포티지의 폭발적인 인기로 전년대비 15.1% 증가했다. 반면 중국에서는 소형 SUV인 KX3의 판매 확대에도 불구하고 승용차급 수요 감소 등에 따른 경쟁 심화로 지난해보다 12.7% 감소했다.

기아차의 출고 판매는 전년대비 6.2% 감소한 70만4천458대로 집계됐다. 국내공장에서는 러시아·중동 등 신흥시장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위축이 수출선적 물량 축소로 이어지며 전년대비 6.4% 감소한 38만4천278대를 판매했다. 해외공장에서는 중국 판매 둔화에 따른 물량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6.0% 감소한 32만180대를 판매했다.

매출액은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 확대에 따른 판매 단가 상승과 신차 출시·RV 차종 판매 호조, 원화 약세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3.2% 증가한 12조6천49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 비율은 글로벌 경쟁 격화에 따른 판촉비 증가 및 기말환율 상승에 따른 판매 보증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0.4%포인트 상승한 15.3%를 기록했다.

그 결과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23.8% 증가한 6천336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률도 전년대비 0.4%포인트 증가한 5.0%로 집계됐다. 세전이익은 관계회사 손익 개선 등으로 1조467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대비 4.6% 증가한 9천446억원을 실현했다.

기아차는 앞으로도 국내외 자동차 시장은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대외 경영환경의 변화가 극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아차는 전 세계 시장에서 높아진 제품 및 브랜드 인지도와 주력 차급에서의 경쟁력 있는 신차를 앞세워 치열한 경쟁을 오히려 도약의 계기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출시돼 1분기 해외 시장에 투입된 신형 스포티지는 2분기 이후 세계 전지역에서 본격적으로 판매되며 신차 효과가 본격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지난 1월 출시된 신형 K7과 3월 출시된 친환경 소형 SUV 니로 등 신차들도 내수 시장을 시작으로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어 기아차의 글로벌 판매는 더욱 확대되고 수익성도 개선될 전망이다.

또 기아차 멕시코 공장이 다음달부터 가동될 예정으로 기아차는 이를 통해 북미는 물론 중남미 시장까지 안정적인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아차의 분기별 실적은 지난해부터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주요 지표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RV 판매비중 확대와 신차효과, 원화 약세 등 영향으로 매출액은 지난해 2분기부터, 영업이익은 지난해 3분기부터 각각 전년대비 증가로 전환된 이후 올해 1분기까지 매분기 전년 대비 플러스 성장을 이어왔다.

관련기사

기아차는 2분기 이후 적극적인 신차 마케팅 강화로 이같은 실적 개선 추세를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기아차 관계자는 "2분기 이후에도 불확실한 경영 여건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기아차는 경쟁력 있는 제품과 안정된 품질을 앞세워 브랜드 인지도를 한층 높이는 한편, 내실경영을 지속 추진해 수익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