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기억의 힘 알파고, 망각의 힘 인간

전문가 칼럼입력 :2016/03/15 17:21    수정: 2016/03/15 18:20

송명빈 성균관대학교 언론학박사

요즘 연일 알파고와 이세돌의 격돌이 화제다.

알파고는 딥마인드 사(社)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며 인공지능의 미래를 예고했고, 이세돌은 칠전팔기의 도전정신으로 알파고의 약점을 공략하며 인간의 자존심을 지켜냈다.

알파고는 일종의 계산기다. 경우의 수를 프로그램화 하면, 이를 연산해 최적의 답안을 제시해 준다. 1+2=3보다는 복잡하고 다단한 과정을 거치며, 많은 가정들을 고려하고 검증해 해법을 도출해 낸다. 인간의 생각의 과정을 베꼈으나, 인간보다 월등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대결이 보여주고자 하는 기술력이다.

네 번째 대국에서 알파고는 전에 없던 경우의 수를 만나고 연산의 오류를 일으켰고, 그 결과 차선책을 선택하지 못한 채 악수만을 거듭 둔 후 스스로 자멸해 버렸다. 시스템 에러다.

송명빈. 디지털소멸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언론학 박사.

그러나 이를 영구히 복구 불가능한 에러라 믿는 과학자들은 없다. 딥마인드 개발자들 또한 에러의 케이스를 알려 줘서 고맙다는 답변이다. 즉 얼마든지 수정 가능한 테스트 에러란 것이다.

이미 인공지능의 미래는 우리 눈앞에 현실로 다가왔다.

이제 알파고는 바둑 뿐만 아니라, 증권, 일기예보, 운행정보 등 실생활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우리 인간의 판단이 환경과 기분에 따라 바이어스(Bias, 편향)가 큰 반면, 알파고는 언제 어디서나 정확하고 합리적인 판단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관리해 줄 것이다.

그러나 인문학을 전공한 학자로서, 그리고 디지털 소멸(잊혀질 권리)의 전문가로서 필자는 몇 가지 단상에 빠져들지 않을 수 없었다.

인간은 정말 인공지능보다 열등할까. 인공지능은 앞으로 정말 인간보다 더 우월한 판단과 해법을 제시해 줄 수 있을까.

우리 인간은 자극에 반응하는 생명체다. 아니,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자극에 반응한다. 빛에 대한 자극 반응체가 눈이며, 음파에 대한 자극 반응체가 고막, 즉 귀다.

우리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살갗에 닿는 촉감을 기억하고, 향기로 엄마의 모유를 느끼고, 보고, 듣고, 만지고, 먹고, 싸고, 아프고, 기뻐하며 인생을 살아 왔다.

그것은 오감, 즉 시-청-후-미-촉감을 더 초과한 더 많은 수의 감각일 것이며,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이 모든 감각을 매 순간 순간 중단 없이 실시간으로 뇌에 기억하며 살아온 일종의 레코더다.(전자적으로 비유해 보자면)

이세돌의 바둑은 단순히 기존의 훌륭한 대국 몇 국을 분석하고, 그것을 뇌에 입력한 후에 가장 최적의 수를 순간적으로 판단해 도출되는 결과 값이 아니다.

그의 바둑은 선천적 요소, 즉 유전적으로 바둑이란 게임에 취미를 갖게 하고, 그것과 관련된 정보를 취득함에 즐거움을 느끼며, 해당 정보를 최적으로 단순간에 분석해 낸다. 또 상대방의 기분과 기세를 읽어내 도전수를 던져보며, 그로 인해 승률을 높여 종국의 결과값을 도출해 내게 하는 습관을 갖게 했을 것이다.

이세돌9단과 알파고.

그리고 그의 삶은 바둑으로 박수 받고, 더 많은 바둑 대국 속에서 기뻐하고, 또한 슬퍼하며, 점점 더 본인의 선천적 DNA를 바둑에 포커스 맞춰 발전시키고 강화시켜 왔을 것이다.

이세돌은 알파고보다 더 많은 분량의 기억과, 보다 복잡다단한 경험들을 훨씬 고도화 된 프로세서(뇌)를 통해 더욱 고도화 시키고 최적화 시켜 왔을 것이란 것이다. 나머지 불필요한 것들은 모두 던져 버렸으리라.

다시 말해 그의 먹고, 자고, 마시고,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감각의 (전자 메모리 칩으로 따지면) 수억 수조 테라바이트급 기억들은 오로지 바둑만을 향해 집합됐다. 또 정제화 됐을 것이다.(그가 태어나서 지금 34세가 될 때까지의 모든 감각기억은 몇 테라바이트 짜리용량일지 상상해 보라)

이세돌을 이긴 알파고는 이제 머지않은 미래에, 인간의 이성을 넘어서게 될 것이다. 알파고는 다음 단계로 인간의 감성을 흉내 내기 시작할 것이고, 인간과 똑 같은 슬픔, 기쁨, 공포, 시기, 질투, 흥분, 사랑, 분노를 느끼게 될 것이다.

인간이 느끼는 감성이야 말로, 가장 최고조의 두뇌활동이란 점에서 이는 인공지능의 최종 목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터미네이터 영화 중 한 장면.

이를 위해 인공지능은 수천, 수 억 개의 감각 센서로 인간이 보고 듣고 느끼는 것과 동일한 구조로 다양한 정보를 취득할 것이다. 또 이를 프로세싱해 인간처럼 희로애락의 감정을 그대로 재현할 것이다.

인터넷을 통해 날아드는 기사와 댓글, 길거리에 설치된 CCTV, 그리고 곳곳에 설치된 스피커(마이크)를 통해 음성정보들이 수집이 될 것이다. 공장의 센서와 지진계 등을 통해 촉감정보들이 인공지능의 뇌에 고스란히 기록되고 판별될 것이다. 빅데이터가 추구하는 바도 바로 같은 지향점임은 이미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 인류가 예견하지 못했던 상황은 이때부터 발생할 것이다. 이는 디지털 재앙이다.

인간과 달리, 인공지능은 모든 것을 기억하고 모든 것을 저장할 것이기에 그 기쁨도, 분노도, 슬픔도 아픔도 영원할 수밖에 없다. 수많은 기억들은 인공지능의 잔상에서 사라지지 않을 것이고, 그로 인한 집착과 편견, 그리고 정신분열까지 일으킬지 모른다.

수 백 년, 수 천 년의 누적 데이터 속에서 인공지능은 우주왕복선의 수리방법으로 구석기 시대의 돌망치를 최고의 해법으로 제시하는 일도 발생할지 모른다. 영화 터미네이터처럼 인간에 대한 분노가 영원히 지속돼 인류전멸을 지시하는 일도 비단 영화 속 만의 상상이 아닐 수 있다.

관련기사

인간이 이 지구상에서 진화와 번식을 거듭할 수 있었던 것은 모든 것을 기억하기보다, 많은 것을 망각하고 지워 버렸기 때문은 아닐까.

알파고의 승리에 축하를 보내며, 이제 이 디지털 기억들을 잘 저장하고 프로세싱하는 것 못지않게, 유용하게 잘 지우는 방법(잊혀질 권리 등)에 대해서도 연구가 시작되길 제언해 본다.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