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시스템LSI 내년 키워드는 AP·CIS·바이오

내년 45나노 공정 바이오센서 양산 예정...투자자포럼서 밝혀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15/11/16 17:23    수정: 2015/11/16 17:26

송주영 기자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의 내년 전략은 모바일 프로세서(AP), 이미지센서, 바이오센서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시스템LSI사업부는 모뎀 통합 프로세서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을 공략하는 한편 바이오센서, 이미지센서 제품으로 스마트폰을 넘어 웨어러블, 자동차 시장 등을 폭넓게 공략할 것으로 보인다.

홍규식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상무는 16일 싱가포르 리츠칼튼 호텔에서 열린 ‘2015 인베스터스 포럼’에서 ‘차세대 모바일 경험을 위한 혁신’이라는 주제의 발표를 통해 향후 전략 제품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이미지센서, 바이오 프로세서를 제시했다.

삼성전자는 매년 두 차례 투자자전략포럼을 열어 외부 거래선 확대를 꾀하고 있는 전략 제품에 대한 전략을 공개하고 있다. 반도체사업부는 지난해 말 14나노 핀펫 공정의 파운드리를 내세웠으며 올해 상반기 3D 낸드플래시를 적용한 SSD를 제시한 바 있다. 이번 투자자포럼에서는 시스템LSI 부문 프로세서, 이미지센서, 바이오 프로세서 등을 새로운 전략 제품으로 제시했다.

삼성전자 바이오 프로세서 개념도(자료:삼성전자 '2015인베스터스포럼')

삼성전자는 내년 1분기 심박동, 심전도, 체지방 측정 기능을 통합한 바이오 프로세서를 45나노 공정을 이용해 양산할 계획이다. 홍 상무는 상업화 계획을 묻는 질문에 “내년 1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바이오 프로세서는 여러차례 소개됐지만 양산계획이 공식적으로 언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전자는 바이오 프로세서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외부 거래선을 공략할 계획이다. 바이오 프로세서는 심박동, 심전도, 체지방, 피부 반응, 온도 등을 측정하는 기능을 반도체 한개에 담아 크기는 80% 줄이고 전력 소모량은 50% 낮추는 등 기능 개선이 이뤄졌다.

삼성전자는 향후 바이오센서 시장을 낙관하고 있다. 홍 상무는 “게임 산업도 차세대 게임에 생체정보를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전자 1.0마이크로미터( ㎛) 픽셀 기반 1600만 화소 모바일 이미지센서

삼성전자는 이번 포럼에서 이미지센서도 시스템LSI 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 제품으로 제시했다. 삼성전자 이미지센서는 중국 거래선 확대에 힘입어 지난 2분기 소니 매출 증가폭을 뛰어넘을 정도로 선전했다. 올해 여세를 몰아 내년에도 시장 확대에 나설 전망이다. 내년 듀얼카메라 등 이미지센서 시장 확대 조짐이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이미지센서 분야에서 특화 기능으로 아이소셀, 브라이트셀, WDR(광역 역광보정기능), 자동초점 기능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1천600만 화소 이미지센서를 1.2마이크로미터에서 1.0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줄여 얇은 스마트폰 폼팩터 대응 기술력도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모바일 시장에서 이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업종을 넘어 거래선을 확대할 계획이다. 홍 상무는 “모바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 가전, 로봇 등에서 여러 기회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삼성전자는 모뎀, 프로세서 SoC도 시스템LSI 주요 제품으로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커스텀코어를 적용한 모뎀 통합 SoC, '엑시노스8890'을 공개했다. 이 제품은 삼성전자 시스템LSI 역사상 처음으로 커스텀코어를 적용했으며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는 모뎀 통합칩으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관련기사

홍 상무는 “모뎀, 프로세서를 통합하면 공간, 최적화, 상호운영, 성능, 전력 등에서 여러 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엑시노스8890에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한 14나노 핀펫 공정을 적용해 성능은 30% 높이고 전력소모량은 10% 줄였다. 모뎀은 카테고리13을 지원해 최대 600Mbs 속도를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시스템LSI 분야에서 기술 선두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홍 상무는 “10나노, 7나노도 준비하고 있다”며 “시장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여러 진화한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