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남 사장 “중국, 한국 반도체산업에 매우 위협”

“향후 5년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향배 갈릴 것”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15/11/10 15:19    수정: 2015/11/10 15:19

송주영 기자

김기남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회장(삼성전자 반도체사업부 사장)이 “중국은 정부의 절대적 지원과 거대 자본을 앞세워 반도체 산업에 진출하고 있다”며 “이는 반도체 산업에 매우 위협적이고 향후 한국 기업 성장에 상당한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회장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중국 부상에 따른 한국 반도체 산업의 위기 진단 및 생존전략’을 주제로 열린 신성장산업포럼 축사에서 “향후 5년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향배가 갈릴 것”이라며 “기존 경쟁력을 월등히 앞서 나가면서 동시에 넘볼 수 없는 새로운 원천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신성장산업포럼은 중국이 반도체 굴기를 내세우며 육성정책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열렸다.

최근 중국은 우리나라가 강세를 보이는 메모리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칭화유니그룹은 11조원을 들여 메모리 공장을 짓기로 했다. 이에 앞서 웨스턴디지털 지분 인수를 통해 낸드플래시 업체인 샌디스크를 우회 인수하기도 했다.

김기남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회장(삼성전자 사장)이 국회에서 열린 '신성장산업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칭화유니그룹은 메모리 공장 진출을 이제 막 시작했다. 5년 후 메모리 양산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 반도체 업계도 중국발 위기설이 솔솔 나오고 있다.

김 회장은 “중국은 세계 2대 경제대국, 제 1위 교역국가로 급부상하며 대한민국이 경쟁 우위에 있는 조선, 철강, 석유화학 산업을 서서히 잠식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한국 시장 점유율이 높은 TV, 휴대폰에도 매우 빠른 속도로 맹추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빠르게 추격하며 우리나라 반도체 업계는 선도업체로 시장을 창출하며 선도해나갈 수 있도록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김 회장은 “메모리 반도체 업계 최고 기술력, 제품력을 바탕으로 시스템반도체를 체계적으로 육성하면서 미래형 자동차, 로봇, 바이오 등 미래 신성장산업과 연계한 기술개발과 새로운 시장 창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정부의 거시적인 정책과 R&D 지원, 국회의 통찰력 있는 인프라 구축, 학계의 체계적인 인재양성 그리고 기업의 연구개발과 경영혁신 등 모든 요소로 유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생태계가 조성된다면 미래 반도체 산업도 계속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