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17년까지 1천개 기업에 스마트공장 전수

실행력 확보 위한 '창조경제지원센터' 신설…센터장에 김종호 사장 선임

홈&모바일입력 :2015/10/07 15:16

정현정 기자

삼성전자가 자사의 제조 노하우와 스피드 경영을 국내 중소·중견기업에 전수해 제조 경쟁력을 높이는 '스마트공장' 전국 확산에 본격 나선다.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확산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사장급 조직의 '창조경제지원센터'를 신설하고, 글로벌 제조 및 생산을 총괄하고 있는 글로벌기술센터 김종호 사장을 센터장으로 선임했다고 7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경상북도와 공동으로 조성한 200억원의 자금과 전문 멘토의 노하우 전수를 통해 올해 100여개의 경상북도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 및 구축을 지원해 왔다. 오는 2017년까지 경상북도 400개 업체를 포함해 전국 1천개 기업으로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중소·중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제조 자동화 ▲공정 시뮬레이션 ▲초정밀 금형 ▲공장운영 시스템 등 4대 분야에 대한 스마트공장 확산 사업을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신설되는 '창조경제지원센터'는 스마트공장지원T/F, 창조경제사무국, 상생협력아카데미 등을 합쳐 총 250명 규모로 운영된다. 이중 스마트공장지원T/F에는 삼성전자의 현장혁신, 공장운영시스템, 제조기술 분야에 경험 있는 전문가 등 150여명을 선발·배치할 예정이다. 스마트공장지원T/F는 스마트공장 지원 대상업체 발굴부터 시스템 구축 지원, 사후관리 방법론까지 전 분야를 지도하게 된다.

이번에 선발된 전문 멘토들은 삼성전자 수원, 구미, 광주 3개의 사업장에 거점을 두고, 전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와 협력해 스마트공장 확산을 추진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기존에 지원하고 있는 경상북도 지역 외에도 스마트공장 필요 수요에 따라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에 2~3명의 멘토를 파견할 계획이다.

스마트공장 지원은 제품 개발부터, 양산, 물류, 판매까지 전 영역에 걸쳐 제조현장 혁신, 공장운영시스템(MES·ERP 등), ICT 기반 제조기술(공정 시뮬레이션, 제조 자동화) 등 중소·중견기업의 수준 및 규모, 분야에 따라 단계별로 추진된다.

삼성전자는 또 창조경제지원센터에 '스마트공장 전문가 양성과정'과 '경북 스마트공장 벤치마킹 프로그램'을 개발해 직접 체험하고,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등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게 할 계획이다.

이밖에 지난해 말 대구·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을 위해 신설한 '창조경제사무국'도 창조경제지원센터 산하에 배치해 시너지를 한층 더 높일 예정이다.

관련기사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해 지난 8월 산업부와 각 150억원씩 총 300억원을 조성하기로 했다. 2016년 지원 대상업체는 올해 10월부터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 하에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스마트공장추진단을 통해 모집할 예정이다.

김종호 삼성전자 창조경제지원센터장은 "제조기술은 삼성의 핵심 경쟁력 중의 하나"라면서 "삼성전자가 가진 노하우를 국내 중소·중견기업에 전파해 국내 제조업 전체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