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연휴, '끊김없는 통신'...통신3사 "연휴도 없다"

방송/통신입력 :2015/09/27 13:38    수정: 2015/09/29 09:46

일반인들은 짧은 추석, 연휴의 절반이 흘러갔다고 아쉬워 하지만, 막히는 고속도로 만큼이나 휴대폰 통화량, 데이터 이용량이 몰리지 않을까 연휴 내내 오히려 더 바짝 긴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언제나 끊김없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통신사 직원들이다. 1년 365일, 24시간, 네트워크 안정성을 책임지는 직원들은 일반인들이 가족과 함께 하는 긴 명절연휴 기간에 오히려 비상이 걸린다.

명절 연휴라고 별 다를게 있냐고 생각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명절을 맞아 전국민의 통화량과 문자메시지 발송량이 급증하는 기간동안 통신망을 지켜야 하는 담당자들은 더 촉각을 곤두세워야 한다.

실제 KT가 조사한 자료를 보면, 지난 설 연휴 기간 메시지 전송이 평소보다 약 31% 늘어났다고 한다. 트래픽 역시 20%까지 늘어난다.

이 정도로는 국내 통신사들이 긴장을 하지는 않는다. SK텔레콤의 발표처럼 가로 세로 20미터 단위로 이동통신망을 설계할 수 있는 기술 수준에 올라와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귀성길 행렬이 이어지는 고속도로와 같은 곳이다.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모이면 통신 서비스는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인파가 몰린 월드컵 가두 응원전이나 사람이 가득 들어찬 야구장에서 비슷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동통신망은 고속도로와 비슷하다. 아무리 많은 주파수를 가진 통신사도 한 쪽으로만 데이터나 음성통화가 몰리면, 명절 고속도로처럼 꽉 막힌다. 수조원의 경매 대가를 치루고 사용중인 주파수는 한정된 양의 통신 서비스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KT가 조사한 자료를 한가지 더 살펴보면, 지난 설 연휴 기간 동안 고속도로의 이동통신 트래픽이 12%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통신사들은 명절 연휴가 시작되기 전부터 통신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전략과 대책을 세우느라 비상이 걸린다. 각사별로 ‘호소통’이나 ‘특별소통관리’ 대택을 세우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한다.

.

우선 SK텔레콤은 고속도로 상습 병목 정체 구간이나 나들목과 같은 곳에 이동기지국을 추가로 설치하고 트래픽 폭증등에 대비한다. 특히 T맵을 이용한 데이터 이용량이 평소보다 40% 이상 늘어날 것에 대비해 가용인력을 비상 근무시킨다.

KT는 전국 상습 정체지역 340곳을 관리대상으로 두고 878개의 LTE 시설 자원을 증설했다. LG유플러스 역시 종합상황실을 차리고 현장 요원을 2배 이상 늘렸다.

관련기사

사실 소비자들이 이런 것까지 알아둬야 할 이유는 없다. 언제 어디서든 우리가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는 아무 문제없이 이뤄지고 있다고 여기면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안전운전에만 신경 쓰면 족하다.

그러나 가족과 함께 즐거운 한가위를 보내고, 귀경길에 오르는 이 시간에도 통신사 일부 직원들은 평상시와 다름없는 고품질의 통신서비스를 위해 휴일도 잊은채 매년 비상근무에 돌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