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파이로 위치를 확인, 보다 신속한 긴급상황 구조 서비스가 시작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사회안전망 확대 지원책의 일환으로 긴급상황에서 구조가 필요한 사람에 대한 위치측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와이파이 위치정보 활용 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화재, 구급, 납치, 강간, 살인 등 긴급상황에서 전국의 와이파이 액세스포인트 DB 정보를 활용해 긴급구조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한다.
기지국을 활용한 위치정보는 긴급구조기관이 빠르게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오차범위가 150미터 이상으로 긴급상황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위치확인시스템(GPS)을 활용한 위치정보는 기지국 정보보다 정확도가 높지만 실내측위가 어렵고 대형건물 등 주변환경의 영향을 받는 경우 측위가 실패할 수 있어 긴급구조에 한계가 있다.
반면 와이파이를 활용한 위치정보는 오차범위가 약 30~50m로 정확도가 높은 편이다.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지역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방통위가 추진하는 위치정보 활용 플랫폼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기술을 이용하는 서비스로 통신사가 구축한 와이파이 AP DB와 자체적으로 구축한 AP DB를 활용한다.
이를테면, 긴급구조기관이 신고자 가입통신사를 통해 확보한 신고자 주변 와이파이 AP 신호세기 등의 정보를 ‘위치정보 활용 플랫폼’에 전달하면, 타 통신사와 자체구축 Wi-Fi AP DB를 활용해 신호패턴이 유사한 위치를 찾아 긴급구조기관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방통위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국민안전처, 경찰청 및 이동통신3사와 협력체게를 구축했다.
경찰청은 지난해 12월부터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국민안전처도 가세했다. 방통위는 향후 플랫폼 시스템 고도화, DB 확대 등을 통해 위치정보 플랫폼의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관련기사
- 와이파이 10배 ‘와이기그’ 시대 열린다2015.09.25
- 무료 공공와이파이존 1만개로 늘어난다2015.09.25
- 기내 무료 와이파이 시대 열렸다2015.09.25
- 무료 와이파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은?2015.09.25
엄열 방통위 개인정보보호윤리과장은 “긴급구조시 오랜 수색시간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상당하다”며, “위치정보 플랫폼이 골든타임 준수에 기여하는 등 사회안전망으로서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화 국민안전처 소방장비항공과장은 “위험에 빠진 사람의 정확한 위치정보 확인은 보다 신속한 출동과 구조로 이어져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에도 방통위 및 이통사와 협력해 위치정보의 정확도를 높여나가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