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조난사고 발생 시 골든타임 내 구조가 가능하도록 조난자위치발신용 주파수 분배가 추진된다.
조난자위치발신 시스템은 선박 탑승자가 바다에 빠졌을 경우 휴대하고 있는 송신기를 통해 조난위치 신호를 송신하고 주변 선박의 수신기에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신속 정확한 구조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해상 조난사고 발생 시 이처럼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발송해 조난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는 조난자위치발신용 주파수 분배를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국민안전처(해경)는 지난 8월에 해상 작전요원과 함정 승조원의 신속한 구조 활동 전개를 위해 해군에서 사용 중인 조난자위치발신용 주파수 배정을 요청한 바 있으며, 미래부는 해군, 해경 등 관계기관과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거쳐 이번 개정안을 마련했다.

송신기는 구명조끼 포켓에 삽입하거나 목걸이나 고리형태로 장착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송신기내 물 감지센서 자동 동작에 따른 자동모드와 조난자가 에스오에스(SOS) 버튼을 눌러 동작하는 수동모드가 있다.

미래부는 주파수 배정을 요청한 해경 뿐만 아니라 민간까지 사용자를 확대해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조난자위치발신용 주파수를 분배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IoT용 주파수 보급된다…‘스마트홈’ 물꼬2015.09.16
- 700MHz 재난망 확정, 통신-방송 2라운드2015.09.16
- 700MHz, 재난망 할당 14일 우선 결정2015.09.16
- 재난망 기술방식 ‘PS-LTE’ 확정2015.09.16
미래부 측은 “해군, 해경 함정과 민간선박에 조난자위치발신 설비를 연동해 설치운영하면 해상조난사고 발생 시 골든타임 내에 신속한 조난자 구조가 가능할 것”이라며 “여객선, 어선 등 8만 여척의 국내선박 종사원와 탑승자의 인명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해상 조난자위치발신용 주파수 분배 고시 개정을 위한 행정예고 절차를 통해 대국민 의견수렴을 거친 후 10월말까지 주파수 분배 고시를 개정할 계획이다.